주간동아 782

2011.04.11

돈 쓰고 시간 써도 힘든 과목 ‘아동학대’ 해도 쉽게 점수 안 나와

수학 사교육 정면 승부 ① - 그 오해와 진실

  • 이설 기자 snow@donga.com journalog.net/tianmimi

    입력2011-04-11 10:05: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수학은 ‘상급학교 진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어려운 과목’으로 통한다. 사교육으로 효과를 보기도 힘들다. 영어와 달리 ‘엄마표 수학’은 더더욱 어렵다. 수학의 산, 어떻게 넘을 수 있을까. 넘을 방법이 있긴 한 걸까. ‘주간동아’는 ‘사교육걱정없는세상’이 주최한 ‘수학 사교육 정면 승부 5부작 교실’을 요약해 생중계한다. 4월 2일 ‘대치 쌤 수학전문학원’ 최영석 원장이 첫 번째 강사로 나섰다.

    돈 쓰고 시간 써도 힘든 과목 ‘아동학대’ 해도 쉽게 점수 안 나와
    현직 사교육업자인지라, 이 자리에 올지, 말지 갈등했다. 사교육업자가 설 자리인지 고민이 됐다. “학부모에게 수학 사교육 실상을 알려달라”는 권유에 마음을 굳혔다. 제가 말씀드리는 것은 대안이 아니다. 그냥 현실을 미화, 과장, 왜곡 없이 알려드리겠다. 여러 이야기를 알아서 걸러 듣고 판단하길 바란다.

    ‘진도’보다 ‘성취’가 중요

    무엇이 수학 사교육시장을 키울까. 2004년 대학수학능력시험(이하 수능) 결과의 점수 분포표를 살펴보자. 표를 보면 영어는 80점, 수학은 30점대에 학생이 몰려 있다. 수학이 영어보다 편차가 심한 셈인데, 이는 곧 변별력이 크다는 뜻이다. 이후에도 수학이 영어보다 어려웠다. 2008년은 예외지만. 또 영어는 집안 형편과 관련 있다. 머리나 재능보다 노출 빈도, 투자 시간의 영향이 크다. 하지만 수학은 다르다. 사회적 공평함, 객관적 지표 측면에서 영어보다 적합한 잣대다.

    특수목적고등학교(이하 특목고) 입시가 수학 사교육시장을 키운 측면도 있다. 우리나라 특목고 역사는 사교육 역사와 맥을 같이하는데, 외국어고등학교(이하 외고) 정원이 기타 특목고 인원을 합한 것보다 10배 많다. 외고는 수학을 잘하는 학생을 선호해, 2005년까지 수학으로 학생을 뽑았다. 사실상 외고는 외국어가 아닌 입시명문이었으니까. 최근에는 영어 중심으로 제도가 바뀌었지만….



    그렇다면 수학 사교육시장 구조는 어떤가. 수학학원의 90%는 교과서 순서대로 가르치고 학교 시험에 대비하는 학원이다. 나머지는 한국수학올림피아드(Korean Mathematics Olympiad, 이하 KMO)를 준비하는 교과 심화 학원이다. KMO는 특목고와 맞물려 인기를 끌었다. 재작년까지 과학고의 경우 정시는 학교 내신+구술, 특차는 KMO 입상으로 진학이 가능했다. 하지만 자녀를 심화과정 학원에 보내는 것은 고민해볼 문제다. 학습 강도가 아동학대 수준이기 때문이다. 이 학원은 초등학교 6학년 여름방학 전까지 중3 과정을 마치고, 중학교에 들어가기 전에 고1 과정을 가르친다. KMO 전형이 사라졌지만 심화과정 학원은 여전히 영업 중이다.‘KMO를 준비해두면 입시에 유리하지 않을까’라는 기대에 엄마들이 계속 학원을 찾기 때문이다.

    학원으로 인한 소모적 선행 학습은 폐해가 크다. 공부는 성취도의 문제라 측정이 어렵다. 확실히 눈에 보이는 것은 진도다. 그래서 학원은 진도를 많이 앞서 나가는데, 엄마들은 “진도를 아이가 잘 따라갔느냐”를 궁금해하지 않는다. 학원에서 외형 위주 학습습관을 주입해도 문제의식을 가지지 않는 것이다. 진도만 나가면 문제를 조금만 비틀어도 못 푼다. 게다가 ‘이미 배운 것’이라는 생각에 학교 수업에도 소홀하다.

    성공 신화 퍼뜨리는 ‘학원 마케팅’

    공부의 가장 큰 적은 수동적 자세다. 고등학생이 되면 투자 시간, 문제지 개수, 다니는 학원 등은 비슷하다. 차이는 공부하는 자세에서 나온다. 적극적인 아이들은 “그 학원 잘 가르치느냐”라고 묻는 반면, 수동적인 아이들은 “그 학원은 많이 때리냐”고 묻는다. 철이 안 든 아이는 하고 싶은 것만 한다. 철이 든 아이는 하기 싫어도 목표를 위해 참을 줄 안다.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시간도 배분한다. 학원은 철이 안 든 아이를 ‘관리’해서 철이 든 것처럼 만들어준다. 일정 틀 안에서 행동하게끔 하는 것이다. 그것이 바로 외형 관리다. 요즘 학원은 수업뿐 아니라 온라인 관리, 숙제 관리 등 사후관리에 열심이다.

    공부를 잘한다는 것은 무슨 뜻일까. 우리 아이가 남들만큼 한다면 상위권이 아니다. 상위권 대학에 가는 비교우위는 남들이 어려워하는 문제를 푸는 데서 나온다. 점수는 익숙하지 않은 문제에서 판가름 난다. 수학은 더 그렇다. 반복과 시간 투자로도 극복하기 힘든 과목이기 때문이다.

    학부모가 학원으로 몰리는 이면을 들여다보면 학원 마케팅이 자리하고 있다. 10명이 시도해서 3명이 성공하면 그 학원에 대한 소문이 신화처럼 퍼진다. 실패한 아이 이야기는 쏙 들어가고 없다. 학부모가 사교육은 제품 검증을 안 한다. 고가의 건강제품처럼 효과가 있다고 믿을 뿐이다. 거의 신앙 간증 수준이다.

    학부모 Q&A

    돈 쓰고 시간 써도 힘든 과목 ‘아동학대’ 해도 쉽게 점수 안 나와
    Q 아이가 중학교 1학년이다. 우리 아이는 학원에 다니지 않고 집에서 공부한다. 그런데 중학교에 가니 주변 아이 모두 학원에 다녀 조금씩 불안해진다. 요즘 아이 아빠와 “우리 아이는 대학에 못 갈지도 모르겠다”는 걱정을 한다. 학교 공부만으로 대학 진학이 가능한가.

    A “노력하지 않으면 독학으로 교과 과정을 따라가기 힘든 구조다. 하지만 아직 중학교 1학년이니 한 학기 정도는 버텨볼 만하다. 그러면서 천천히 판단 근거를 찾아보라. 아이가 학교 수업을 잘 따라간다면 문제될 게 없지만, 자신감을 상실한다면 학원 선택을 고민해볼 수 있지 않겠나. 시간을 갖고 판단하길 권한다.”

    Q중학교 2, 3학년 사이에 수학이 어려워진다고들 한다. 학교 수학 교과 과정 중에서 선행 학습을 어떻게 해나가야 할까.

    A “중학교 3학년부터 교과 과정이 어려워진다. 그동안 배운 내용을 소화했다면 선행 학습을 해도 무방하다. 하지만 의미 없이 진도를 앞서 나가는 것은 쓸데없는 짓이다. 특히 중학교 과정을 성취하지 못한 상태에서 고등학교 과정을 선행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 고등학교 이후에는 거칠게 표현해 역전이 어렵다. 다 같이 열심히 하니까. 개별 상황에 따라 기본기를 다지면서 선행 학습을 해야 한다.”

    Q큰아이가 중학교 2학년인데, 지금껏 사교육을 받지 않고 비교적 좋은 성적을 유지했다. 그런데 고등학교에 가서도 혼자서 이 성적을 유지할 수 있을까. 사교육의 도움 없이 좋은 대학에 간 사람이 있긴 한가.

    A “냉정하게 말해서 많지 않다. 스스로 알뜰하게 공부 계획을 세우지 않으면 승산이 낮다. 학교 선생님이 가르쳐주는 것은 평균적인 내용인데, 대학은 잘하는 아이를 골라내려 어려운 문제를 낸다. 지금 대학이 요구하는 난이도는 스스로 해결하기 힘든 것이 사실이다.”

    Q무조건 진도를 앞서 나가거나 무지막지하게 숙제를 내주는 학원이 아니라, 개별 맞춤식으로 수업하는 학원이 있나. 휘황찬란한 마케팅으로 선택이 쉽지 않은 환경인데, 그런 학원을 알아보는 노하우는 무엇인가.

    A “먼저 특목고 반에 넣자는 둥, 목표를 명문대로 잡자는 둥 무조건 엮으려는 학원은 피하는 것이 좋다. 반면, 반 배정 시험 결과를 놓고 결과가 아닌 과정으로 보는 학원은 기대해볼 만하다. 점수 이면의 사연, 아이들의 사정에 관심이 있는 것이니까. 아이가 경쟁력이 있다면 이름 있는 학원에 보내도 좋지만, 그렇지 않으면 그런 학원은 피하길 권한다. 괜히 자신감만 상실할 우려가 크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