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776

2011.02.28

봄 캠퍼스 곳곳에 ‘물가 폭탄’

등록금·방값·밥값 미친 듯 올라 … 낭만은커녕 갈수록 빚만 늘어

  • 이설 기자 snow@donga.com

    입력2011-02-28 10:09: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봄 캠퍼스 곳곳에 ‘물가 폭탄’
    case1 등록금 학자금 대출, 일부 장학금, 종일 아르바이트…. 05학번 이모(25·중앙대) 씨는 학교 축제기간에도 각종 아르바이트를 전전했다. 등록금을 마련하기 위해서다. 그의 꿈은 기자. 그간 친구들보다 조금 바쁠 뿐이라 자위했지만 취업 준비를 하는 요즘은 마음이 복잡하다. 3개월 기준 수강료 250만 원인 방송아카데미에 다니는 친구들을 보면 ‘왜 나는…’이라는 생각에 울화가 치민다. 그는 “나의 경험은 모두 돈을 벌기 위한 것이었다. 어학연수, 배낭여행, 인턴 등 스펙으로 내세울 만한 게 없어 소외감을 느낀다”라고 말했다.

    case2 방값 제대 후 복학을 앞둔 이모(24·홍익대) 씨는 껑충 뛴 대학가 방값에 입이 떡 벌어졌다. 제대 전 살던 보증금 100만 원, 월세 30만 원짜리 원룸은 언감생심. 어른 한 명이 누우면 꽉 차는 크기의 고시텔 가격이 40만 원을 웃돌았다. 기를 쓰고 찾은 28만 원짜리 저렴한 고시원. 하지만 18명이 화장실을 함께 써야 한다는 말에 눈물을 삼키고 돌아서야 했다. 그는 “여름방학 후에는 울산 집에 내려가면 된다. 3개월 반 동안 아르바이트로 어떻게든 버텨볼 생각”이라고 말했다.

    case3 밥값 매달 40만 원씩 주고 고시텔에서 생활하는 강모(26·고려대) 씨. 한 달 용돈 30만 원으로 사는 그에게 구내식당은 만만하면서 고마운 끼니 해결책이었다. 한데 학교 주변 식당에 이어 구내식당까지 가격 인상을 예고해 걱정이 이만저만 아니다. 그는 “3000원, 4000원이던 제육덮밥, 돈가스도 500~1000원씩 가격이 올라 이제 발길을 끊을 생각이다. 밥값이 올라 부식을 먹을 수 있는 편의점 아르바이트 인기가 올라갔다”라고 분위기를 전했다.

    돌이킬 수 없는 1000만 원 등록금 시대

    등록금, 방값, 밥값. 대학생들의 3중고는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하지만 살인 등록금, 물가 인상, 최악의 전세난이 겹친 최근 상황은 경보 수준이다. 서민층은 물론 중산층 학부모들까지 대학 뒷바라지의 부담을 호소한다. 등록금 부담을 비관한 학생과 학부모의 자살 소식도 잇따르고 있다. 20대 대학생 세대와 50대 부모 세대를 동시에 옥죄는 2011년 대학가 풍경은 어디서 비롯된 걸까.



    액수로 보면 등록금 부담이 가장 크다. 2010년 기준 서울 신촌에 자리한 연세대(907만6000원), 이화여대(881만9000원), 서강대(791만6000원)의 연간 평균등록금은 약 860만3000원. 사립대학 등록금은 2000년 연평균 449만 원에서 2010년 754만 원으로 2배 가까이 뛰었다. 10년간 등록금 인상률은 매년 5~10%로, 소비자물가 인상률의 2, 3배에 이른다. 우리는 어쩌다 1000만 원 등록금 시대를 맞은 걸까.

    교육 관계자들에 따르면 ‘미친 등록금’의 배경에는 사립대의 이기적인 배불리기 정책이 깔려 있다. 그리고 그 핵심은 법인전입금 문제. 사립대 수입은 크게 등록금, 법인전입금, 국고보조금, 기부금 등으로 나뉘는데, 법인전입금은 학교법인이 학교에 전출해야 하는 수익을 뜻한다. 사립학교법에 따르면 학교법인은 연간 학교 운영 금액에 상당하는 기금으로 매년 3.5%의 수익을 올려야 하고, 이 중 80%를 학교로 전출해야 한다.

    봄 캠퍼스 곳곳에 ‘물가 폭탄’

    2월 7일 오후 동국대 후문에서 총학생회장 권기홍 씨가 등록금 인상 반대 1인 시위를 하고 있다.

    하지만 이 비율이 터무니없이 낮은 데다, 대부분 대학이 이를 지키지 않는다는 게 문제다. 2009년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회 김영진 의원이 공개한 ‘2008년도 결산 재무제표 및 감사 결과 분석’에 따르면, 조사 대상인 전국 145개 4년제 사립대학 중 111곳(77%)이 법인전입금을 제대로 내지 않았다. 이에 대학들은 “학교는 필요한 돈을 모을 권리가 있고, 적립금을 임의로 충당할 책임이 없다”라는 입장이다. 다음은 한 서울 소재 사립대 기획실장의 설명.

    “적립금은 대학의 저축금입니다. 적립금은 각각의 목적을 가진 목적기금을 모은 거예요. 목적기금을 마구잡이로 빼 쓸 순 없는 일인데, 모르는 사람들이 적립금을 쌓아둔다며 비판해 답답합니다.”

    등록금 못 따라가는 ‘알바비’

    이에 참여연대 안진걸 민생희망팀장은 “법인이 부담할 부분을 학생 등록금에 전가하려는 핑계”라고 반박했다. 그는 “적립금 40%가 기타 적립금인데 그걸 장학금이나 기타 비용으로 쓰면 된다. 저금은 해야 하지만, 수천억 원씩 쌓아둘 필요는 없다”라고 설명했다. 한국대학교육연구소 임희성 연구원은 “현재 대학이 홈페이지에 공개하는 등록금 관련 정보는 형식적이다. 학교가 짓는 건물이 시급한지, 건축에 얼마가 필요한지, 법인과 등록금 투자 비율이 어떤지 등 상세 적립금 투자내역을 공개해야 모든 것을 가늠할 수 있다”라며 공개범위 확대를 주장했다.

    20년간 등록금이 널뛰었지만, 적극적 대응이 부재한 것도 원인이다. 오랜 기간 등록금 문제를 고민하면서도 학생들은 조직적인 목소리를 내지 못했다. 서울 성균관대 4학년 강모 씨는 “등록금 문제에 관심이 있어도 뒤집어엎을 정도로 열성적인 건 아니다. 나서서 뭔가 바뀌면 좋은데, 아니면 시간 낭비만 할까 겁나서 모두들 피한다”고 학교 분위기를 전했다.

    정치권과 언론에서도 등록금이 1000만 원을 넘긴 시점에야 강경하게 대책 마련을 요구했다. 교육과학기술부(이하 교과부)는 인상폭을 3% 이내로 권고했다. 하지만 동국대(4.9%), 건국대(4.7%), 중앙대(3%), 동덕여대(3%), 상명대(3.9%), 한양대(2.9%), 서강대(2.9%) 등은 등록금 인상을 강행했다. 이에 대학가 여론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서울 소재 대학을 중심으로 연대 움직임을 보이는 등 반발 전선을 확대하고 있는 것.

    전세가와 하숙비도 가파르게 올랐다. 국토해양부에 따르면 1월 서울 월세가격은 전월 대비 0.2% 올랐으며, 이 가운데 연립·다세대가 0.4%, 오피스텔이 0.6% 상승했다. 33㎡ 내외 원룸을 기준으로 10년 전만 해도 보증금 없이 매달 20여만 원을 내면 충분했지만, 지금은 보증금 1000만 원에 45만~50만 원이 기본이다. 전세가는 전용면적 26㎡형 원룸이 5000만~8000만 원 선, 전용면적 16㎡형 원룸은 5000만~6000만 원 선에 거래된다. 하숙비 시세는 대략 45만~50만 원 정도. 2인실의 경우 가격이 35만~38만 원까지 내려가기도 한다. 최근에는 6개월~1년치 방값을 한꺼번에 내야 들어갈 수 있는 일시불 하숙집도 등장했다.

    나갈 돈은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반면 돈 벌 길은 막혔다. 수년째 제자리걸음인 취업률은 그렇다 쳐도, 당장 학생들의 아르바이트 수당은 어느 코에도 못 붙일 수준이다. 30년 전 서울 사립대 등록금은 50만 원 내외로 지금의 8분의 1 수준. 하지만 대표적 학생 아르바이트인 과외비는 거의 그대로다. 79학번인 김모 씨에 따르면 당시 1과목당 과외비는 5만~10만 원 수준. 고려대 10학번이 말하는 현재 과외비는 일주일 2시간씩 2번(2과목)에 40만 원 내외다.

    그나마 학령인구가 감소해 과외 자리도 줄어드는 형편. 인맥이 없는 지방 학생이나 비명문대 학생, 그리고 학부모들이 다소 꺼리는 남학생들은 과외 구하기가 하늘의 별 따기다. 이런 학생은 차선책으로 단순노동 아르바이트 자리를 구해야 한다. 하지만 2011년 한국 최저임금은 4320원. 시급 4000~5000원 아르바이트를 하루 5시간씩 뛰어도 수중에 쥐는 돈은 90만 원(한 달 기준) 내외다. 한양대에 다니는 이모 씨는 “학업을 따라가기 바빠 야간 아르바이트를 선호한다. 등록금이 워낙 비싸 아르바이트로 충당하기엔 한계가 있다”라고 한숨지었다.

    허리띠 졸라매는 학부모

    봄 캠퍼스 곳곳에 ‘물가 폭탄’

    숭실대 구내식당에서 배식을 기다리는 학생들.

    경제적 어려움에 대한 답답함은 조기 취업에 대한 갈망으로 이어진다. 서울의 한 사립대 중어중문학과에 재학 중인 신모(22) 씨. 졸업을 1년 넘게 남겨놓고 있지만 취직을 고려 중이다. 적성이나 회사 수준보다 경제적으로 도움이 되는 자리를 찾고 있다. 그는 “학자금 대출을 3번 받았다. 부족할 때마다 부모님께 용돈 받기가 죄송스럽다”라며 조기 취업 이유를 밝혔다. 가난은 취업에도 영향을 미친다. 지난해 고려대 국문학과를 졸업한 김모(25) 씨는 대학생활을 이렇게 회상했다.

    “경제적 상황은 취업에도 영향을 미쳐요. 여유로운 환경에서 학교 다니는 아이들은 수업에만 충실해 성적이 좋고 스펙도 빵빵합니다. 악착같이 아르바이트하는 아이들은 성적은 물론 학교생활도 소극적으로 임하게 되고요. 졸업 후 고시 준비나 대학원을 가려 해도 제약이 많죠.”

    성균관대 경영학과 4학년 김모 씨도 자신만의 노력으로 채울 수 없는 간극이 너무 크다고 토로했다. 그는 “시간을 투입하지 못해 지난 학기 성적이 엉망이었다. 성적장학금을 못 받아 방학 내내 대구 집에 내려가 이마트에서 아르바이트했다. 서울에서 하숙하며 과외하는 것보다 그게 경제적으로 이득이다. 돈 많은 집 아이들은 스펙도 충실히 쌓는 데다 조기교육 덕분인지 영어도 뛰어나다”라고 설명했다.

    “작은아들이 ‘지방대 갈걸 그랬다’고 미안해하더군요. 그냥 하는 말이겠지만 마음 아프죠. 그러다가도 3년이나 남았다고 생각하면 머리가 지끈하고….”

    울산에 사는 전업주부 이모(52) 씨는 한동안 허리가 휠 지경이었다. 큰딸은 부산, 작은아들은 서울 소재 대학에 진학해 세 집 살림을 꾸려야 했기 때문. 이씨의 남편은 30년 차 공립중학교 교사. 세전 연봉 약 6000만 원에 정년까지는 9년이 남았다. 큰딸이 지난해 취직하면서 부담을 다소 덜었지만, 아직은 허리띠를 바짝 조여야 한다. 해마다 등록금이 수십만 원씩 올라서다.

    “두 아이 등록금은 교원공제회 학자금 대출로 해결했어요. 용돈은 자기네가 아르바이트로 해결하고요. 하지만 둘 다 반수(대학 1학기 다니다가 재수하는 것)를 해서 2학기 등록금분 800만~900만 원은 저희가 해결해야 해요. 한 학기 지날 때마다 빚이 늘어나는 거죠. 결혼할 때 빈손으로 시작해 두 아이를 대학에 보낸 지금까지 빈손이에요. 노후자금은 둘째가 취직한 뒤부터 마련해야죠.”

    이렇듯 대학 교육비는 중고등학교 교육비를 훌쩍 뛰어넘는다. 자녀를 서울로 유학 보낸 지방 학부모들은 특히 출혈이 크다. 부산에 사는 55세 주부는 “먹고살 만한 중산층이었는데, 아이 둘을 10년간 서울에 보내고 나니 지금은 살림이 빠듯하게 느껴진다”고 말했다. 방값, 밥값 부담이 덜한 현지 통학생들도 마찬가지. 대기업에 다니는 김모(50) 씨는 “서울 집에서 통학하는 대학 3학년 큰딸에게 매달 100만 원씩 들어간다. 고등학생 시절 사교육비와 맞먹는 수준”이라고 말했다.

    “등록금은 회사에서 자녀 학자금이 나와요. 그래도 용돈 50만 원에 학원비를 더하면 100만 원은 기본으로 나갑니다. 본인이 방학마다 아르바이트를 하지만, 학기 중에는 바빠서 못 하니까요. 곧 교환학생으로 외국에 갈 예정인데, 그러면 한 달 지출이 200만 원 가까이 늘어날 것 같아요.”

    김씨는 한 학기 등록금 30만~60만 원 시절에 대학을 다녔다. 첫 월급이 55만 원가량이었으니 그때도 등록금은 비쌌다. 하지만 물가가 쌌다. 하숙비는 매달 8만 원, 라면 값은 300원쯤 했다. 반면 대학생 수가 적어 과외비는 쏠쏠했다. 그는 “딸이 스펙을 쌓는다며 대학에 오래 머무르려 한다. 속이 타지만 독촉은 하지 않는다. 가끔은 뻔뻔하다는 생각도 든다. 어른 권리를 내세우면서 경제적인 면은 의지하니까”라고 담담히 말했다.

    한때는 ‘캥거루족’ ‘빈털터리 세대’라는 말 앞에 대학생들은 고개를 숙였다. 지금은 아니다. 부모와 농담처럼 이 단어들 속에 담긴 애환을 나눈다. 기성세대는 청년다운 패기가 사라진 대학가를 보며 혀를 찬다. 그들의 취업강박증과 연봉·안정 우선주의를 손가락질한다. 하지만 에너지를 잃은 그들은 반문한다.

    “사회로 나가기 전에 진 빚이 1000만 원이에요. 다른 생각 할 여유가 있을까요?”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