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611

2007.11.20

5·18 광주 살아남은 자도 산 게 아니었다

민주화운동 자살 피해자 ‘심리학적 부검’

  • 조용범 생명인권운동본부 공동대표·심리학 박사

    입력2007-11-14 10:31: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5·18 광주 살아남은 자도 산 게 아니었다

    5·18 광주민주화운동 당시 진압군이 한 시민을 연행하던 중 곤봉으로 구타하고 있다.

    5·18 광주민주화운동 이후 27년이라는 세월이 흘렀다. ‘광주사태’에서 ‘광주민주화운동’으로 이름이 바뀌고 특별법이 만들어져 피해자들에 대한 보상이 이뤄지고 있지만, 국가폭력에 의한 피해자들과 그 가족의 삶은 1980년 이전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있다. 직접적인 피해자 4360여 명 가운데 부상 후 사망자가 370여 명이었고, 이들 중 10.4%인 39명이 자살(사망원인 1위)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종남 씨, 24년간 빈곤·고문 후유증·질환 등으로 고통받다 스스로 생 마감

    국가가 정권 유지를 위해 시민에게 가한 고문과 학대, 살인행위로 인한 피해 연구는 세계적으로도 그리 많지 않다. 몇몇 연구는 이런 외상(trauma)으로 인한 대표적 후유증으로 신체적·신경적 고통,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자살을 꼽는데 한국의 5·18은 이 같은 후유증에 대한 보고를 그대로 따르고 있다.

    필자가 대표로 있는 생명인권운동본부는 10월 말 5·18 민주화운동 자살 피해자에 대한 ‘심리학적 부검’을 시도했다. 5·18 구속자로 수감생활을 했던 고(故) 이종남(가명) 씨에 대한 심리학적 부검은 당시 고문과 학대 후유증이 이씨의 삶에 어떤 영향을 끼쳤으며, 그가 왜 자살을 선택할 수밖에 없었는지를 과학적으로 분석해 밝히는 것이었다.

    심리학적 부검은 1960년대 미국 로스앤젤레스 검시관청의 의뢰로 처음 시도된 것인데, 초기엔 사망자의 사인을 정확히 규명하기 위해 행해졌다. 즉 사망진단서에 사망 유형이 자연사, 사고사, 자살, 타살 중 무엇에 해당하는지 판단하기 위한 절차로 필요했던 것이다. 당시 심리부검 절차를 개발한 이는 현재 UCLA 명예교수로 재직 중인 미국 심리학자 에드윈 슈나이드먼(Edwin Shneidman) 박사로, 그는 자살문제를 다면적이고 복합적인 현상으로 이해해 단순한 원인 분석만으로 자살문제를 바라보는 것을 경계한 대표적 학자이자 자살예방 운동가다.



    이씨의 심리학적 부검은 주변 인물에 대한 인터뷰와 증언을 통해 사회 정치 문화적 정황을 포함한 다면적 분석방식으로 시행됐다. 고인은 5·18 당시 무고한 사람들이 진압군의 폭력에 희생되는 것을 보고 민주화운동에 참여했다. 화물운전사였던 그는 운동 참여자를 위해 부식을 나르는 일을 맡았다고 한다. 1980년 5월27일 자신의 집 근처로 친구와 함께 피신하던 중 친구는 진압군의 총탄에 사망했고, 본인은 개머리판으로 머리를 맞아 4개 이상 이가 빠졌다.

    5·18 광주 살아남은 자도 산 게 아니었다

    10월 말 열린 5·18 민주화운동 자살 피해자에 대한 ‘심리학적 부검’ 관련 토론회.

    이어진 구속 조사과정에서는 다른 구속자들과 함께 하루 20~120분씩 둔기와 구둣발 등으로 무차별 구타를 당했고, 지속적인 단체기합과 고문은 물론 성기를 발로 짓이기거나 제거한다고 협박하는 등 성적 고문까지 당했다고 그의 한 지인은 보고했다. 이 같은 신체적 상해와 함께 구속상태에서 항상 ‘폭도 ○○○’라고 말하며 간첩임을 고백하게 했으며, 조사관들은 “너희들은 어차피 죽을 놈들이다”면서 끊임없이 죽음에 대한 공포를 갖게 했다.

    수개월간 수감생활을 마친 뒤 이씨는 거동이 매우 힘들고, 주변 사람들조차 못 알아볼 정도로 야윈 상태였다고 한다. 당시 대화가 불가능할 만큼 정서적으로 둔감한 반응을 보였는데, 말을 걸어도 대답하지 못하고 침묵하거나 회피했으며, 과도한 각성반응 등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반응을 보였다. 또한 자기파괴적 행동을 보이기 시작했는데, 석방 후부터 만취해 경찰관이나 군인들에게 시비를 걸고 흉기를 휘둘러 이후 수차례 교도소에 수감됐다. 그는 5·18 이전엔 술을 많이 마시지 않았을 뿐 아니라 한 차례의 전과도 없었다.

    더불어 5·18 수감자라는 낙인으로 제대로 된 직업을 갖지 못했던 그는 결국 극빈생활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딸을 남겨둔 채 결혼생활을 끝내게 된다. 90년대 후반 생긴 간질환은 간경화와 간암으로 발전했으며, 이로 인해 그는 죽음에 대한 두려움을 자주 호소했다고 한다. 이씨는 2003년경 술자리에서 청산가리를 입에 털어넣음으로써 첫 번째 자살시도를 했지만 실패하고, 1년 뒤인 2004년 다시 맥주에 청산가리를 타 마시고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부모 보살핌 못 받은 딸마저 가출 ‘고통 대물림’

    심리부검을 통한 고인의 자살행적(suicide career) 분석에 따르면 이씨는 생전 자살의 대표 위험요인으로 꼽히는 경제적 빈곤, 실업, 고문과 학대 경험,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신체적 질환, 술을 비롯한 약물 남용, 가정생활 부재, 낮은 자존감, 사회적 관계 단절, 죽음에 대한 공포 등에 노출돼 있었다. 대표적인 자살 위험요인 30여 개 중 17개 이상에 해당됐던 그는 결국 임박한 수술에서 살아남지 못할 것이라는 공포심과 재혼한 부인의 질환 치료비에 대한 부담감, 사회적 관계에서 소외감을 느꼈고, 가족에게 짐이 되기 싫다는 이타적 마음상태에서 목숨을 끊은 것으로 보인다.

    결국 이씨의 자살은 5·18 구속조사와 구금과정에서 일어난 반인권적 폭력에 의해 촉발돼 이후 사회적으로 방치된 채 삶이 피폐해진 데서 기인한 것으로, 국가와 사회의 책임이 크다. 더 염려스러운 것은 그 같은 불행이 81년 첫 결혼에서 얻은 딸에게 그대로 전가됐다는 점이다. 초등학교 1학년을 마지막으로 아빠를 만나지 못한 딸은 외할머니 손에서 자라며 빈곤을 겪을 수밖에 없었고, 고등학교 때 가출해 현재 유흥가를 전전하며 살고 있다. 5·18 국가폭력은 이렇게 다음 세대의 미래까지 파괴하고 있다.

    우리 사회는 5·18 생존자와 그 가족에 대해 무엇을 해야 할지 고민해야 한다. 이들의 삶이 회복될 수 있도록, 그리고 당시 사건의 증인으로 떳떳하게 살 수 있도록 장기적인 사회보장 정책에 대한 연구와 지원이 시급하다. 이 같은 노력만이 이 땅에서 다시는 권력에 의한 인권침해가 일어나지 않고, 민주화운동에 헌신했던 분들이 영예로운 삶을 살 수 있는 길이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