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573

..

“나를 위한 투자” VS “가족 위한 희생”

1970년생 동갑내기 ‘골드미스 vs 맞벌이 미세스’ 비교

  • 강지남 기자 layra@donga.com

    입력2007-02-07 14:00: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 서른일곱 살의 동갑내기 여성 두 명을 만났다. 1970년생이고 89학번이다. 대학시절 아마도 그녀들 둘 다 기형도의 시집 ‘입 속의 검은 잎’을 읽고 유재하의 ‘사랑하기 때문에’를 즐겨 들었을 것이다. 혹은 당시 여대생들이 그러했듯 갓 발행된 학보(學報)에 예쁜 띠지를 둘러 좋아하는 남학생에게 보냈던 추억이 있는지도 모른다.
    • 그리고 2007년. 30대 중반을 넘어선 그녀들의 인생은 사뭇 다르다. 결혼 유무가 길을 갈랐다.
    • 평화로운 일요일, 한 명은 그림을 배우고 다른 한 명은 두 아이를 돌보는 서로 다른 ‘세계’에 살고 있다. 그녀들의 삶은 어떻게, 그리고 얼마나 다를까.
    “나를 위한 투자”  VS  “가족 위한 희생”
    골드미스 김성주

    국내 굴지의 모 대기업 과장으로 재직 중인 김성주(가명·37) 씨는 누가 봐도 능력 있는 여성이다. 정치학 석사를 마치고 10년 전 지금의 회사에 입사, 남자 동료들 못지않은 성과를 내면서 ‘크리에이티브’를 요구하는 업무 영역에서 능력을 인정받고 있다.

    김씨의 연봉은 약 6000만원. 4년 전 부모로부터 ‘독립’해 회사 근처에서 혼자 살고 있다. 현재 자산은 전세보증금을 포함해 1억원 정도. 재테크에는 별다른 관심이 없다. 매달 보험과 청약부금에 70만원을 붓는 것이 ‘돈 관리’의 전부다. “결혼을 했다면 달랐겠죠.” 그는 부동산으로 돈 버는 것은 도덕적이지 않다고 생각한다.

    김씨는 돈 불리는 것보다는 ‘자신을 불리는 일’에 더 매료돼 있다. 영화를 무척 좋아해 2002년 시간을 아끼고 쪼개가며 일반대학원에서 영화이론 석사과정을 수료했다. 지난해에는 사진에 심취해 주말을 사진 배우는 데 바쳤다. 캐논 EOS 350D, 리코 디지털카메라, 콘탁스 아리아 카메라와 몇 개의 카메라렌즈 등 카메라 장비 구입에만 300여 만원을 들였다.

    얼마 전부터는 화가 후배에게서 그림을 배우고 있다. 해외여행을 가서 마음에 드는 풍경을 손수 그린 그림으로 남기고 싶어 시작한 일이다. 가끔씩은 플로리스트인 후배에게 꽃꽂이를 배운다. 또한 주2회 스페인어 과외를 받고 있다. 영어, 일본어, 중국어 등은 어느 정도 알지만 스페인어는 그에게 전혀 낯선 언어다. “스페인과 라틴음악 그리고 스페인 영화를 좋아해요. 석사논문을‘귀향’을 찍은 페드로 알모도바르 감독의 작품세계로 쓰고 싶은 생각도 있고요.”



    재테크보다 여행 등 취미생활에 투자 마음껏

    김씨가 가장 돈을 아끼지 않는 분야는 해외여행. 입사 이후 해마다 두 번 이상 해외여행을 다녀왔을 정도다. 서유럽과 동유럽, 미주 등 웬만한 여행지는 모두 가봤을 뿐만 아니라, 남들이 잘 안 가는 남아프리카공화국, 모로코, 네팔에도 가봤다. 작년에는 모두 일곱 차례나 여행을 다녀왔다. 지금까지 해외출장까지 합쳐 약 35번의 해외여행을 했다. 여기에 들인 비용은 3500만원 정도. “여행으로 통장 잔액이 빈 것을 후회한 적은 한 번도 없어요. 쓴 비용 이상으로 여행을 통해 내 삶이 풍요로워졌다고 생각하니까요.” 김씨는 조만간 다른 골드미스 3명과 함께 여행 에세이 책을 펴낸다. 이 책에서 그는 영화에 나온 홍콩의 여러 명소들을 소개할 계획이다.

    “물론 공항 면세점에서 산 에트로나 코치 가방이 두세 개 있어요. 하지만 명품을 선호하지는 않아요. 비행기 티켓부터 생수까지 뭐든 더 싸게 사려고 해요. 장보기는 주로 코스트코에서, 쇼핑은 대부분 여행지에서 하죠.”

    김씨는 ‘명품족’이 아니다. 고가 브랜드로 보기 좋게 차려입는 것보다는 여행지에서 그 나라 분위기를 느낄 수 있는 옷, 장신구를 사거나 커피 등을 사오는 것을 좋아한다. 인터뷰 장소에 그는 홍콩에서 산 니트 원피스를 입고, 그리스에서 산 반지와 면세점에서 산 BABY-G 시계를 착용하고 나왔다. 가방은 홍대 앞에서 12만원을 주고 산 오렌지색의 큰 가죽 제품.

    야근이 많은 업무 특성 탓에 주중의 김씨는 ‘열혈업무’ 모드다. 친구들과의 약속이나 다양한 취미생활은 모두 몰아서 하기 때문에 주말 또한 바쁘다. 친구들은 주로 비슷한 연령대의 싱글 여성들. 함께 스페인어와 그림을 배우는 친구들도 변호사나 외국계 기업 직원 등 골드미스들이다. 결혼한 친구들과는 자연 멀어졌다. 그 이유에 대해 그는 “평소 연락 없던 그녀들은 어쩌다 한 번 만나고 다시 연락을 뚝 끊는데, 싱글 여성들이 원하는 것은 일상적이며 지속적인 관계이기 때문”이라고 명확하게 설명했다.

    다들 커플인데 혼자만 싱글인 상황에 놓일 때 외롭지 않느냐는 질문에 김씨는 “나만 싱글인 순간을 잘 대면하지 않는 편”이라고 말했다. 그는 일찍 결혼할 생각은 없었지만, 이 나이가 되도록 혼자일 거라는 생각 또한 안 했다고 했다. 앞으로 좋은 사람, 취향이 맞는 사람을 만난다면 결혼할 생각이다. 그러나 ‘반드시 결혼을 해야겠다’는 생각은 없다. 또한 앞으로 일을 그만두는 경우도 절대 없을 것이다. 자기 분야에서 더욱 전문적인 능력을 가지기 위해 항상 노력할 생각이다.

    “결혼은 할 수도 있고 안 할 수도 있어요. 그러나 어떠한 경우든 나와 다른 사람들의 영혼을 다치지 않게, 잘 보살펴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결혼과 상관없이 그렇게 살아갈 자신이 있습니다.”

    。 연봉 : 6000만원

    。 자산 : 약 1억원(전세보증금 5500만원, 예금 3000만원, 보험 등)

    。 매달 저축액 : 70만원(보험 40만원, 청약부금 30만원 등)

    。 매달 지출액 : 130만원(공과금 25만원, 생활비 40만원, 사교활동비 30만원, 취미활동비 25만원, 피부마사지 10만원 등)

    。 2006년 가장 큰돈을 쓴 항목 : 해외여행 700만원, 카메라 장비 구입 300만원


    “나를 위한 투자”  VS  “가족 위한 희생”
    맞벌이 미세스 한영선

    중견기업에서 기획 업무를 맡고 있는 한영선(가명·37) 씨는 지난해 8월 둘째를 낳고 현재 육아휴직 중이다. 서른한 살이던 2001년 지인의 소개로 남편을 만나 이듬해 결혼했고, 2003년 큰아이를 낳았다. 서울 종로구에 32평형 아파트를 갖고 있으며(남편이 결혼 당시 마련한 집이다), 연 소득은 건축사무소를 운영하는 남편과 한씨의 수입을 합해 약 1억원. 여기에 귀여운 두 아들을 둔 단란한 중산층 가정이다.

    의외로 한씨 가족의 재테크는 ‘꼼꼼하지’ 않다. 그 이유에 대해 한씨는 “우선 내 집 마련 부담감이 없고, 맞벌이를 하느라 재테크에 신경 쓸 틈이 없다”고 털어놓았다. “요즘은 집에 있으니까 이것저것 따지면서 한 푼이라도 아끼려고 하는데, 회사 다닐 때는 ‘그냥 쓰지 뭐’ 했어요. 밥도 되도록 나가서 사먹었죠. 귀찮으니까. 세 식구의 일주일 외식비가 10만원을 훌쩍 넘기곤 했습니다.”

    저축이 많지 않은 이유는 육아비가 만만치 않기 때문이기도 하다. 큰아이 유치원비가 매달 50만원이고, 맞벌이하는 한씨 대신 살림과 육아를 도맡아주는 친정어머니에게 매달 80만원의 용돈을 드린다. 앞으로 큰아이를 영어유치원에 보내고 둘째 아이도 유아원에 보내게 되면 육아비 부담은 더욱 커질 것이다. 한씨는 “결혼 5년 후 남편이 직접 설계한 우리 집을 짓자고 약속했는데, 그 약속을 10년 뒤로 미뤘다”고 했다.

    “남편과 아이들이 사고의 중심 … 그래도 불행하다고 생각 안 해요”

    “나를 위한 투자”  VS  “가족 위한 희생”
    한씨의 생활과 ‘사고’의 중심은 남편과 아이들. 모처럼의 쇼핑도 남편과 아이들이 우선이다. 자기 옷을 사러 백화점에 갔다가도 아이들과 남편 옷만 사서 돌아오기 일쑤. 자기도 모르게 남편과 아이들 물건이 먼저 눈에 들어오기 때문이다. 몇십 만원짜리 겨울코트는 주부로서 언감생심. 한씨는 “작년 가을에 여성의류 창고세일을 하는 곳에 가서 8만원짜리 코트를 미리 사뒀다”고 했다. 최신 유행하는 옷은 사지 않는다. 그리고 무난한 스타일을 선호한다. 한씨는 처녀 때와는 달리 왠지 유행 스타일은 ‘내 옷’이 아닌 것처럼 느껴진다고 했다.

    결혼 전 한씨는 클래식 공연이나 대학로 연극, 뮤지컬 등을 자주 다녔다. 한 달에 두세 차례씩 세계적인 유명 작품의 내한 공연은 빼놓지 않고 챙겨 봤다. ‘그 시절’에는 십수 만원짜리 티켓도 거리낌 없이 구입했지만, 지금은 살림과 아이 걱정 때문에 문화생활을 거의 하지 않고 지낸다.

    한씨의 일상은 단조롭다. 육아휴직 전에는 오전 6시30분에 일어나 큰아이 아침을 챙겨 먹이고 유치원에 보낸다. 허겁지겁 출근하면 9시30분. 일찍 퇴근하는 날에는 저녁 8시 무렵 집에 도착한다. 친정어머니를 ‘퇴근’시키고 큰아이 밥 먹인 뒤 씻기고 재우면 하루가 저문다. 육아휴직 중인 요즘에는 친정어머니와 함께 두 아이를 돌보는 것이 하루 일과다. 오는 여름 복직한 후에는 아이 둘을 챙겨야 하니 더 바빠질 것은 불 보듯 뻔한 일이다.

    “나를 위한 투자”  VS  “가족 위한 희생”
    주말에는 친정어머니에게 모처럼의 휴가를 드리고 남편과 함께 하루 종일 아이들을 돌본다. 가끔은 미술관이나 공원, 동물원 등으로 나들이를 간다. 남편이 주말에도 출근을 하면 아이들을 데리고 시댁으로 간다. 혼자서 두 아이를 돌보는 것이 힘에 부치기 때문. “친정에는 미안해서 못 가고 시댁 식구들에게 좀 기댔다가 오는 거죠.”(웃음)

    한씨가 따로 자신만의 취미생활을 하는 것은 없다. 가장 최근에 영화관에서 본 영화는 작년 여름 회사 동료와 조금 일찍 퇴근해서 본 ‘왕의 남자’다. 가장 최근에 본 비디오는 큰아이가 좋아해서 고른 ‘카’와 ‘슈퍼맨 리턴즈’. 그는 “아이 엄마가 되면 취향도 아이가 원하는 것을 따라가게 되는 법”이라고 했다.

    두 아이의 엄마가 된 뒤 한씨는 ‘일’에 대한 생각이 바뀌었다.

    “물론 일에서 얻는 보람이 큽니다. 단순한 돈벌이는 아니에요. 하지만 요즘 이런 생각이 들어요. 아이들을 내 손으로 키우면서 느끼는 보람과 일의 보람, 둘 중 어느 것이 더 클까 하는 생각이요. 집에서 살림하고 아이 키우면 육아비나 생활비를 절약할 수 있어 경제적으로 입는 타격도 그다지 크지 않을 것 같고요.”

    한씨는 결혼으로 인해 자신만을 위한 시간을 잃었다. 원하는 대로 소비할 수도 없다. 그는 마음껏 여행 다니고 취미와 자기계발에 열정을 쏟는 골드미스들이 참 부럽고 좋아 보인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자신이 불행하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남편이나 아이들 때문에 힘들 때도 많아요. 하지만 이제는 남편이나 아이들이 없으면 살 수 없을 것 같아요. 해외여행이나 자기계발은 아이들이 좀더 큰 다음에 할 수 있지 않겠어요?”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