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543

2006.07.11

뿌리 깊은 노예제도 고발

  • 이서원 영화평론가

    입력2006-07-06 15:36: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뿌리 깊은 노예제도 고발

    ‘맨스필드 파크’

    노예제도 이야기를 시작하려면, 19세기까지 이 어처구니없는 제도를 당당하게 고집해온 미국이라는 나라를 거론하지 않을 수 없다. 알렉스 헤일리의 ‘뿌리’는 소설로서뿐만 아니라 TV 시리즈로도 70년대 미국에서 가장 인기 있었던 작품이다. 지금의 젊은 세대들은 이 작품을 잘 모르겠지만(DVD로 나왔으니 보는 것은 어렵지 않다) 시리즈의 주인공이었던 노예 ‘쿤타킨테’는 우리나라에도 문화의 일부로 남아 있다. 문제는 ‘쿤타킨테 같다’는 등 그것을 인종차별적인 농담의 소재로 삼는다는 것이다. 자유를 갈망하던 비극적인 흑인 주인공의 모습이 ‘검고 못생겼다’라는 일반적인 표현으로 사용되는 건 옳지 않다.

    19세기 미국 남부를 무대로 한 영화에서는 직·간접적으로 노예를 다룰 수밖에 없다. 가장 대표적인 영화로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가 꼽힌다. 노예제도 철폐 등을 둘러싸고 시작된 남북전쟁을 배경으로 남부 지주들이 주인공으로 등장한 영화였던 만큼 노예들이 빠질 수 없었던 것. 하지만 이 영화에서는 노예제도에 대한 고민이나 반성을 전혀 찾아볼 수 없다.

    흑인 조역들은 모두 우스꽝스럽거나 개처럼 충실한 하인들에 불과했고, 거론할 가치가 있는 건 버릇없는 백인 귀부인들뿐이었다. 그나마 다행이라면 노예역을 한 해티 맥다니엘이 이 영화로 최초의 흑인 아카데미 연기상의 수상자가 된 것이다. 애틀랜타에서 열린 시사회에서는 뒷문으로 들어가야만 했다지만.

    그리스와 로마 시대를 다룬 영화에서도 노예들이 자주 등장한다. 커크 더글러스가 노예 반란의 우두머리로 나왔던 검투사 ‘스파르타쿠스’는 많은 영화팬이 기억할 것이다. ‘벤허’에서 찰턴 헤스턴이 연기했던 주역도 노예였고, ‘쿠오바디스’에서 페트로니우스가 사랑을 나눈 대상도 노예였으며 찰턴 헤스턴이 광야로 끌고 나왔던 유대인들도 모두 노예였다. 하지만 이 시대를 배경으로 등장한 노예들은 미국을 배경으로 한 노예보다 훨씬 인간적인 대우를 받는다. 그나마 인종차별이 거의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노예제도는 종종 뜻밖의 영화에서 다뤄지기도 한다. 제인 오스틴 원작의 영화 ‘맨스필드 파크’가 대표적인 작품이다. 이 영화에서 맨스필드 파크의 가부장인 토머스 버트럼은 안티과의 노예들을 학대하며 재산을 모은 잔인한 농장주로 등장한다. 제인 오스틴의 원작소설에는 없는 내용이 감독에 의해 삽입된 것이다. 하지만 버트럼이 안티과의 농장주였다면 아무런 양심의 가책 없이 노예들을 부렸음이 분명하다는 게 정설이다. 책에서 노예들을 다루지 않았다고 해서 없는 건 아니다. 그건 문명화된 척하는 지금의 현대사회에서도 마찬가지다.





    영화의 창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