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513

2005.12.06

동독 출신 정치인 전성시대

메르켈 총리 이어 마티아스 플라첵 사민당 당수에 … 슈피겔지 ‘서독 출신 정치인은 나약’

  • 슈투트가르트=안윤기/ 통신원 friedensstifter@gmail.com

    입력2005-11-30 15:04: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프란츠 뮌터페링 당수가 당내 갈등으로 물러난 뒤, 몇 주간 어수선했던 사민당이 11월15일 독일 서남부 도시 카를스루에에서 열린 전당대회에서 새 지도부를 선출해 새 출발을 하게 됐다. 이날 당수로 뽑힌 사람은 마티아스 플라첵 브란덴부르크 주지사. 그는 참석한 515명의 대의원들 중 512명의 표를 얻어 99.4%라는 압도적 지지로 선출됐다. 이는 1966년 빌리 브란트가 얻은 99.39%를 넘어선 것이고, 사민당 100년의 역사상 역대 2위 기록이다(1위는 1948년 쿠르트 슈마허가 기록한 99.71%).

    플라첵의 선출이 주목되는 이유는 그가 얻은 압도적인 지지라든지 사민당 지도부의 세대교체 때문만은 아니다. 그의 선출이 주목받는 가장 큰 이유는 그가 1953년 포츠담에서 태어난 동독 출신이라는 점. 현재 독일 총리가 동독 출신인 앙겔라 메르켈인 점을 고려하면 독일 여야는 모두 동독 출신 정치인이 이끌게 된 것이다(앙겔라 메르켈의 출생지는 서독 함부르크였다. 하지만 그녀는 생후 2개월부터 동독 지역에서 성장했기 때문에 보통 동독 출신으로 간주된다). 독일은 통일 15년 만에 동독 출신이 양대 정당의 최고봉에 오르는 상황이 벌어진 것이다.

    메르켈과 플라첵 정치 역정 비슷

    베를린 장벽이 무너졌지만 동·서독인 마음속의 내적 장벽은 아직 남아 있다. “구 동독 시절이 차라리 더 나았다”는 극단적인 소리를 하는 사람은 비록 소수이지만, 동부 5개 주에 있는 대부분의 주민들은 자신들이 무시당하는 현실을 기분 나쁘게 생각한다. 반면 서독인들은 그렇게 퍼주었는데도 회생의 기미가 보이지 않고, 심지어 잘나가던 독일 경제마저 휘청거리게 된 것은 구제 불능 동독 지역 때문이라는 피해의식을 가지고 있다.

    독일은 동독 정권의 붕괴에 의한 흡수 통일 형태로 이뤄졌기 때문에, 흡수당한 동독은 경제적으로는 많은 도움을 얻었더라도 정치·사회·문화 등 여타 영역에서는 당연히 불이익을 받았다. 옌스 라이히, 라이너 에펠만, 하인츠 에거르트, 귄터 크라우제 등 명망가들도 실력은 인정받았으나 당내 기반이 취약한 동독 출신이었기 때문에 통일 후 정치 무대에서 조연으로 머물다 잊혀져 갔다.



    때문에 더 많은 시간이 흘러야 동독 출신에게도 정치 무대에서 주연 자리가 주어질 것이라는 게 대체적인 관측이었다. 하지만 15년 만에 동독 출신이 기민련에 이어 사민당에서도 최고 권력을 잡자, 사람들은 왜 동독 출신들이 잘나가게 됐는지에 관심을 쏟게 되었다.

    기민련과 사민당 같은 거대 정당은 자체 인력 조달 시스템을 갖고 있다. 두터운 인재 풀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어지간해서는 특정인이 두각을 나타내기 힘들다. 청년당원 시절부터 유능하다고 인정받은 사람이 착실히 단계를 밟아나가다가 지도적 위치를 차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때 출신 지역이나 성향, 종교 등은 당내 지지기반 형성에 중요한 구실을 한다.

    기민련은 남서부 독일 출신이 주력이고 종교적으로는 천주교, 외교적으로는 친미, 성향은 보수로 특징지어지는데, 이곳에서 동독 출신에 개신교를 따르는 여성 앙겔라 메르켈이 입당 10년 만에 당수 자리에 오르고, 정치 입문 15년 만에 총리가 됐으니 그야말로 ‘신화 창조’가 아닐 수 없다.

    동독 출신 정치인 전성시대

    동독 출신, 개신교, 여성이라는 핸디캡에도 정치 입문 15년 만에 총리 자리에 오른 앙겔라 메르켈.

    사민당에 입당한 지 10년밖에 안 되는 동독 출신의 플라첵이 사민당 최고봉에 오른 것 역시 기존 통념으로는 이해되지 않는 일이다. 플라첵의 정치적 역정은 메르켈과 상당히 유사하다. 원래 생명의료신경과학 공학도였던 그가 정치에 발을 들여놓은 것은 베를린 장벽이 무너진 1989년 가을이었다. 환경 문제에 관심이 많았던 그는 동독 지역 녹색 연맹에 가입했다. 그런데 몇 년 후 이 단체가 서독 녹색당과 합병할 때 따라가지 않고 사민당에 가입했다(1995년).

    브란덴부르크 주 환경부 장관으로 재직하던 1997년에 오데르 강이 홍수로 범람하자 그는 현장에 나가서 제방 지킴이 노릇을 했다. 그 모습이 매우 인상적이어서 그는 전국적 명성을 얻게 됐다. 1998년에는 포츠담 시장, 2002년과 2004년에는 브란덴부르크 주지사로 선출됐는데, 특히 1998년과 2004년의 승리는 거듭된 사민당의 지방선거 연패 행진에 종지부를 찍은 것이었다. 요컨대 플라첵은 소방수 구실을 하는 전문 구원투수로 사민당 내에서 인정을 받았고, 이것이 그가 입당 10년 만에 당수의 자리에 오를 수 있었던 배경이 되었다.

    독재 폐해 경험해 전투력 강하다?

    프랑크푸르트 알게마이네 차이퉁이나 슈피겔지는 동독 출신이 권력을 장악하는 이유로 서독 출신 정치인의 나약함을 꼽았다. 제2차 세계대전을 경험한 구세대(헬무트 슈미트, 헬무트 콜)나 격동의 1960년대를 경험한 68세대(슈뢰더, 피셔)와 달리, 독일이 가장 번영했던 1970~80년대에 자란 서독 출신의 젊은 정치가들은 선배들에 비해 추진력과 인내심, 전투력 등이 많이 부족했다. 반면에 메르켈이나 플라첵 같은 동독 출신들은 독재 정권의 폐해를 겪었고, 정권의 몰락이라는 극적인 사건을 목도했기 때문에 정치에 임하는 자세가 근본적으로 다르다는 것.

    이러한 특징은 플라첵이 2년 전에 한 강연에서도 발견된다. 이 강연에서 그는 성공한 사람들의 자기 안주 위험성을 경고했다. 현 상태에 만족하고 안주하려는 사람은 시대적 요청에 따른 개혁에 오히려 장애가 된다는 것이었다. 플라첵은 이런 점에서는 더 이상 잃을 것, 지킬 것이 없는 동독 출신이 서독 출신보다 유리하다고 지적했다.

    통일 15주년을 맞은 독일은 동독 출신 정치인들의 전면 배치로 새로운 실험에 들어섰다. 이 실험이 동서독 주민 간의 내적 장벽을 허물고 침체된 독일 사회를 일으켜 세울 수 있을 것인가. 이들이 보여주는 선례는 통일을 준비하고 있는 우리에게도 많은 도움이 될 것이 분명하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