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499

2005.08.23

“부시, 이래도 우주선 예산 깎을래”

디스커버리호 비행 성공으로 우주 사업에 인색한 정부에 보기 좋게 한 방

  • 이현경/ 동아사이언스 기자 uneasy75@donga.com

    입력2005-08-19 10:49: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디스커버리호가 돌아왔다. 7월26일 국제우주정거장(ISS)을 향해 지구를 떠난 지 14일 만의 귀환이다. 1984년 처음 발사된 디스커버리호로서는 31번째 비행이었다. 2010년 퇴역을 앞두고 있는 디스커버리호는 이번 성공으로 ‘노장’의 저력을 과시한 셈이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한껏 고조된 분위기다. 2003년 2월 착륙 16분 전 텍사스 상공에서 폭발한 컬럼비아호 참사의 악몽을 마침내 떨쳐냈기 때문이다. 특히 디스커버리호는 발사 과정에서 몸체 전면 착륙장치 아래쪽에서 타일 조각 파편 두 개가 떨어져나가면서 무사귀환 여부에 대한 우려가 있었다. 하지만 승무원들은 우주 유영으로 수리에 나서 불안을 잠재웠고, 비행을 마친 디스커버리호의 선체는 현재 매우 양호한 상태다.

    美 정부, 그동안 우주 실험 효과에 의문

    디스커버리호의 성공으로 미국의 우주계획 추진에 탄력이 붙을 것으로 보인다. 디스커버리호는 기본적인 임무인 ISS 건설을 진행한 것 외에도 사상 최초로 우주 유영을 통해 왕복선 선체를 수리했다는 기록을 남겼다. 우주에서 우주선을 수리할 수 있다면 장래에 컬럼비아호 같은 비극을 막을 수 있다. 30년 경력의 베테랑 엔지니어인 스티븐 로빈슨은 선체에 돌출한 충전재를 손으로 간단히 떼어내 우주선 수리기술의 새로운 진전을 이뤘다.

    우주왕복선에 대한 인기도 회복됐다. 지난 2년 6개월 동안 우주왕복선이 지구에 발이 묶인 사이 왕복선의 인기는 사그라져야 했다. 예산이 당초보다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자 우주왕복선 계획을 전반적으로 재검토해야 하는 것 아닌가 하는 여론이 이는 수준이 됐다. NASA 에는 무엇보다 반가운 소식이다.



    무엇보다도 미국 의회 일각에서는 국제우주정거장 건설 작업은 물론 우주 실험 자체의 유용성에 의문을 던졌고, 부시 행정부는 이를 기회로 우주왕복선 예산을 축소했다. 2004년 초 부시 대통령이 ISS를 2010년까지만 지원하고 그 이후에는 철수할 방침이라고 밝혔던 것. 부시 행정부는 과학 실험이 주목적인 우주왕복선보다 미사일방어(MD)나 화성탐사 등 ‘생색나는’ 우주 계획을 선호하는 편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 때문에 조지 워싱턴대학 우주정책연구소장 존 로즈던은 디스커버리호 발사 전 “이번 발사는 미국 최초의 유인 우주선인 머큐리호와 달 탐사선인 아폴로 11호와 맞먹을 정도로 중요하다”고까지 평하기도 했다. 단순히 우주탐사 재개라는 의미를 넘어서 제2의 우주왕복선 시대가 올 것인지 여부가 디스커버리호의 성공적인 귀환에 달렸다는 것.

    결국 디스커버리호는 화려하게 부활했고, 이미 일부에서는 ‘디스커버리 효과’까지 거론되는 실정이다. 최근 국제우주사업협회(ISBC)는 디스커버리호의 무사귀환으로 지난해 바닥을 친 우주항공 시장이 부활할 것으로 내다보고, 오는 2010년에는 시장 규모가 현재보다 50%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차세대 유인우주탐사선(CEV) 개발에도 가속이 붙고 있다. NASA는 ISS 활성화를 위해 2014년으로 예정돼 있던 CEV 완성을 2010년까지 앞당기기로 하고, 디스커버리호와 애틀랜티스호 등 기존의 우주왕복선을 대신할 CEV 개발 업체를 내년 중에 선정할 계획이다. 현재 록히트 마틴과 보잉 등이 경쟁하고 있다.

    최근 공개된 록히트 마틴의 CEV 모델은 3명의 승무원이 탑승할 수 있고, 발사 시 문제가 발생하면 선체에서 승무원 선실만 따로 분리된다. 또 기존 우주왕복선과 달리 비행을 1회만 하게 될 공산이 크다. 기존 왕복선에 들어 있는 250여만 개 부품 대부분이 1970년대 기술로 제작됐기 때문에 이를 유지·보수하고 기술을 업그레이드하는 비용이 눈덩이처럼 불어나 NASA의 재정에 부담이 됐기 때문이다. 게다가 아무리 첨단 기술로 보강하더라도 기본적으로 낡은 모델일 수밖에 없다는 것이 그간 전문가들의 지적이었다.

    지금 NASA는 들뜬 가운데서도 신중을 기하는 모습이다. 10억 달러를 들여 디스커버리호를 안전 기술로 무장했지만, 결국 발사할 때 타일이 떨어져나가는 등 예기치 못한 상황이 벌어졌기 때문이다. NASA는 디스커버리호 이륙 직후 일단의 단열타일의 기술적 문제가 완전히 해결될 때까지 우주왕복선 운항을 전면 보류한다고 밝혔다. 9월22일로 예정된 애틀랜티스호 발사도 아직은 불투명한 상태다.

    그래도 우주 개발의 꿈은 계속된다. NASA는 9월12일(한국시간) 5억 달러를 투자해 건설한 무인 화성정찰궤도선(MRO)을 발사한다. MRO가 2006년 3월 화성에 도착하면 마스 글로벌 서베이어, 마스 오디세이, 그리고 유럽우주국(ESA)의 마스 익스프레스에 이어 4번째로 화성 궤도에 안착하는 셈. 화성에서 물의 흔적을 찾아 생명체의 존재 가능성을 타진하는 것이 MRO의 목표다. 디스커버리호가 지구 무사귀환의 약속을 지킨 것처럼 MRO도 화성 탐사에 성공할 수 있을까. 지금 지구촌은 다시 우주 개발 열기로 후끈 달아오르고 있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