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460

2004.11.18

팔레스타인 권력투쟁 막 오르나

‘포스트 아라파트’ 적격자 없이 후보자만 무성 … 경우 따라 무력 충돌 가능성도

  • 이스라엘=남성준 통신원 darom21@hanmail.net

    입력2004-11-12 14:34: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거목이 쓰러졌다. 팔레스타인 독립국가의 상징 야세르 아라파트 팔레스타인 자치정부(이하 팔 자치정부) 수반이 10월27일 밤 웨스트 뱅크(요단강 서안의 팔레스타인 자치 지역) 내 라말라의 무까타(아라파트의 정무청사)에서 팔레스타인의 원로 정치인들과 가벼운 식사를 하는 도중 구토와 함께 의식을 잃고 쓰러진 뒤 생사의 기로에 놓여 있다.

    올해 75살인 아라파트는 2002년 10월부터 그의 정치활동을 봉쇄하려는 이스라엘에 의해 모든 통행이 불허된 채 무까타에 연금 상태로 지내왔다. 그러나 아라파트의 건강이 악화되자 이스라엘이 치료를 위한 출국과 치료 후의 귀국을 보장함으로써 그동안 아라파트에게 가해졌던 모든 제재가 일시에 풀렸다. 아라파트는 10월29일 요르단의 군용헬기로 요르단 수도 암만으로 이송된 뒤 다시 프랑스 파리의 군 병원으로 옮겨져 치료를 받고 있다. 그는 호전과 악화를 반복하다가 11월4일 밤 한때 사망설이 보도될 정도로 상태가 악화됐다. 현재 그는 의식을 찾지 못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런 실정으로 인해 회복 여부와 관계없이 아라파트의 정치생명은 끝났다는 데 모든 소식통들의 의견이 모아지고 있다.

    선거로 결정 땐 바르구티 가장 유리

    이번 사건에 대한 중동 안팎의 관심은, 아라파트의 권력을 승계할 후계자가 과연 누가 될까에 쏠려 있다. 팔레스타인의 새로운 지도자는 교착 상태에 빠진 이스라엘과의 평화협상을 재개하여 팔레스타인 독립국가 건설이라는 중대 과제를 완성해야 하는 막중한 책임을 져야 한다.

    ‘포스트 아라파트’를 이끌 후보군은 크게 세 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상자기사 참조). 첫 번째 그룹은 이른바 동반자 그룹이다. 이들은 PLO(팔레스타인 해방기구)의 모체가 되는 파타흐(팔레스타인 국가 해방 운동)가 설립된 1959년부터 아라파트와 함께하다 93년 오슬로 협정이 맺어지자 다음해 팔레스타인으로 돌아온 그룹이다. 전 팔 자치정부 총리 아부 마젠과 현 총리 아부 알라가 이에 속한다.



    그러나 이들은 오랜 망명생활로 팔레스타인 내 지역 기반이 없다는 취약점을 가지고 있다. 팔레스타인 민중의 눈으로 보자면 이들은 이스라엘 점령 통치의 고통을 겪지 않은 아웃사이더인 셈이다. 아부 마젠이 72살, 아부 알라가 68살로 정치생명이 오래 남지 않았다는 것 또한 약점이다.

    두 번째 그룹은 팔 자치정부의 보안병력을 통제하는 그룹이다. 이들은 가신그룹에 비해 젊고 이스라엘 점령 하의 팔레스타인에서 태어나고 성장했다는 공통점을 갖는다. 가자지구 보안경비대장과 아부 마젠 총리 아래서 보안장관을 지낸 무함마드 다흘란, 웨스트 뱅크의 보안경비대장을 지내고 현재 아라파트의 안보보좌관인 지브릴 라주브가 이 그룹에 속한다. 이 둘은 보안병력의 통제권과 아라파트의 차기주자를 놓고 경쟁한 오랜 라이벌 관계로 각각 가자와 웨스트 뱅크에 강력한 지역 기반을 가지고 있다.

    마지막 그룹은 팔레스타인 내 자생그룹으로 현 인티파다(민중봉기, 2000년 9월 발발)를 이끌다 이스라엘에 의해 수감되어 민중지도자로 급부상한 그룹이다. 파타흐 산하 민병 조직인 탄짐의 지도자 마르완 바르구티가 이에 속한다. 바르구티는 현재 팔레스타인 내 가장 강력한 대중적 지지를 받는 인물로 만일 선거에 의해 차기주자가 선정된다면 가장 유리한 고지에 올라 있는 것으로 평가받는다.

    팔레스타인의 후계 구도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다소 복잡한 팔레스타인 권력기관의 구조를 이해해야 한다. 현재 팔레스타인을 대표하는 정치기구는 팔 자치정부이지만, 실제로는 PLO가 그 위에 있다.

    아라파트가 68년 의장에 선출되어 이끌어온 PLO는 64년 팔레스타인의 여러 민족주의 운동단체가 참여해 설립됐다. PLO는 팔레스타인의 해외 망명정부 구실을 수행하며 팔레스타인을 대표하는 기구로 93년 오슬로 협정을 이끌어내 팔레스타인 독립국가 건설 토대를 마련했다. 팔 자치정부 수립 자체가 PLO의 인준 아래 이뤄진 것이므로 PLO는 실질적으로 팔레스타인의 최고 권력기구에 해당한다.

    그러나 PLO를 실질적으로 움직이는 단체는 파타흐다. 파타흐는 PLO에 참여하고 있는 단체 중 가장 큰 정파로 아라파트는 자신이 조직한 파타흐를 이끌고 PLO에 참여해 의장으로 선출된 것. 아라파트는 파타흐 의장, PLO 의장, 팔 자치정부 수반을 모두 겸임함으로써 팔레스타인의 권력을 통제해왔다. 때문에 아라파트의 사후를 준비해야 하는 지금에 와서 복잡한 후계구도 경쟁을 불러일으키고 있는 것이다.

    팔 자치정부 지도부는 아부 마젠 수반, 아부 알라 총리로 임시 권력체제를 구성하려는 계획을 세워놓고 있다. 팔레스타인의 권력구조를 토대로 권력서열을 따지면 아부 마젠이 서열 2위로 아라파트의 권력을 승계하게 된다. 아부 마젠은 PLO의 핵심 기구인 실행위원회 사무총장으로 의장 다음의 서열이 있기 때문에 의장 유고 시 의장직을 승계하게 되어 있는 것.

    권력 서열로 따질 땐 2위 아부 마젠 승계

    그러나 아부 마젠은 파타흐의 의장직은 가질 수 없다. 파타흐의 의장직을 승계하려면 파타흐의 핵심기구인 중앙위원회 위원이어야 하는데, 아부 마젠은 지난해 9월 아라파트와의 불화로 중앙위원직을 사임했기 때문이다. 또한 팔레스타인 기본법에 의하면 팔 자치정부 수반 유고 시에는 국회에 해당하는 팔레스타인 입법의회 의장이 보궐선거가 이루어질 60일간 그 직을 승계하게 되어 있다. 이 법대로라면 현재 입법의회 의장인 라우히 파투흐가 팔 자치정부 수반직을 승계하게 되는데, 파투흐는 파타흐 내 권력서열 상 그만한 영향력을 가지지 못했다. 아부 마젠이 자치정부 수반이 되려면 입법의회의 법 개정 혹은 특별법 제정 등의 동의가 필요하나 팔레스타인 입법의회는 아라파트의 권력 공백을 채우기 위한 새로운 입법이 필요하지 않다는 결정을 내린 상태다.

    아라파트 사후 벌어질 권력투쟁의 양상에 대해서는 다양한 의견이 존재한다. 첫째 보안병력을 소유한 그룹 간의 무력투쟁에 대한 가능성이다. 무함마드 다흘란과 지브릴 라주브가 이 가능성의 핵심 인물이다. 둘째 PLO 세력과 이슬람주의자인 하마스 간의 충돌도 예상되고 있다. 현재 하마스는 집단 지도체제를 요구하며 제도권 안으로 들어갈 것을 예고하고 있으나 이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 내전이 발생해 가자와 웨스트 뱅크에 각각 두 개의 정부가 들어설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셋째, 연합설이다. MI(이스라엘 군 정보부)가 국회 외교 국방위원회에 제출한 보고서는 아라파트가 사망하더라도 아부 마젠과 아부 알라가 병력을 통제하고 있는 무함마드 다흘란과 지브릴 라주브와 연합하여 정국을 운영해나갈 것으로 보고 있다. 마지막으로 선거를 통한 지도자 선출이다. 올해 말 팔레스타인 총선거가 예정되어 있고, 현재 76%의 유권자가 등록한 상태. 팔레스타인은 96년 첫 총선거가 실시된 이후 어려운 정치 상황으로 인해 총선거를 치르지 못했다. 이번 선거에는 그동안 오슬로 협정을 거부하며 PLO나 팔 자치정부에 참여하지 않았던 하마스를 비롯한 이슬람 단체들이 참가할 예정이다. 그러나 총선 시행 여부는 여전히 불투명한 상황이다.

    아라파트 사후 현 이-팔 관계가 어떻게 바뀔지도 중요한 관심사다. 이번 인티파다 발발 이후 샤론 내각은 팔레스타인 측과의 협상 불가 정책을 내세웠다. 테러를 협상 수단으로 이용하는 아라파트가 존재하는 한 팔레스타인과의 협상은 없다는 것이다. ‘가자에서의 일방적 철수’ 계획이 대표적인 예다. 하지만 아라파트가 사라진다면 더 이상 ‘일방적’을 내세울 명분과 근거가 사라지게 된다. 당장 내년에 시작될 가자 철수 계획의 근간이 흔들리는 상황이 도래하게 되는 셈이다. 샤론 총리는 10월31일 내각회의에서 ‘가자에서의 일방적 철수’ 계획은 아라파트의 생사 여부와 관계없이 예정된 일정대로 진행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샤론 총리는 팔레스타인에 정통성 있고 안정적으로 ‘입증된’ 지도체제가 들어선다면 협상 용의가 있음도 밝혔다. 샤론 내각은 아라파트가 사라져야 현 폭력 정국이 안정되고 평화협상의 진전이 있다는 주장을 일관되게 펴왔다. 과연 이러한 샤론 내각의 분석이 맞는지 밝혀질 날도 멀지 않은 듯하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