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449

2004.08.26

통일 노랫소리 금강산에 메아리~

CBS의 8·15 금강산 콘서트 ‘通해야’ 성황 … 국악과 가요 어우러진 흥겨운 한마당

  • 금강산=송화선 기자 spring@donga.com

    입력2004-08-20 18:24: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통일 노랫소리 금강산에 메아리~
    “이미 빗장은 풀렸네. 이미 쪽문이 열렸네. 조금만 더 힘을 내면 통일이어라, 영차.”

    8월15일 오후 10시, 금강산 자락에는 통일의 노랫소리가 울려 퍼졌다. 금강산 문화회관에서 열린 8·15 기념 특별 콘서트 ‘통(通)해야’ 무대에서다.

    분단 이후 금강산에서 콘서트가 열린 것은 이번이 처음. 올해로 개국 50주년을 맞는 CBS 기독교방송이 오랜 준비 끝에 성사시킨 기획 공연이다. 이날 800여명의 금강산 관광객들은 수려한 산봉우리로 둘러싸인 북측 공연장에서 성시경, 마야, 팀 등 남측 음악인들의 공연을 감상하며 광복을 축하했다.

    2000년 6·15 남북공동선언 이후 북에서 열린 문화 공연이 적지 않은데도 이날 행사가 주목받은 이유는 ‘금강산’이라는 장소의 특수성 때문. 금강산은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본격적인 남북의 ‘공존’이 실험되고 있는 곳이다. 그곳에서 사상 처음으로 ‘통일’보다 양쪽의 ‘소통’과 ‘이해’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공연이 열린 것이다.

    이번 콘서트의 연출을 맡은 CBS FM 지웅 부장은 “통일이 되기 위해서는 우선 남북이 ‘통해야’ 한다. 이런 뜻을 담을 만한 장소로 금강산만한 곳이 없다고 생각했다”고 설명했다. 남측의 ‘보통 사람’인 관광객들이 자유롭게 드나드는 북의 유일한 공간에서 두 개의 서로 다른 문화는 날마다 만나고 부딪히며 새로운 문화를 만들어가고 있다. 금강산에서 시작돼 이제는 남북 관계 전반에 쓰이게 된 ‘북측’과 ‘남측’이라는 용어가 그 예다. 차이를 부각시키는 ‘북한’이나 ‘남조선’ 대신 서로의 다름을 존중하는 ‘북측’ ‘남측’이라는 표현을 만들어낸 것은 서로를 이해하기 시작한 금강산 사람들, 금강산만이 갖고 있는 ‘크로스오버’의 힘이다.



    음악 통한 크로스오버의 시험무대

    통일 노랫소리 금강산에 메아리~

    색소폰 연주자 이정식(왼쪽)의 반주로 소리꾼 김용우가 각설이 타령을 부르고 있다(위). 콘서트에 출연한 퓨전 국악그룹 ‘the 林’.

    ‘통해야’ 콘서트가 돋보인 이유는 음악을 통한 다양한 ‘크로스오버’를 실험함으로써 우리 현대사에서 금강산이 갖고 있는 함의를 되새기게 했기 때문이다.

    마야의 ‘진달래꽃’으로 막을 연 콘서트는 인기가수 팀과 성시경의 무대를 거쳐 퓨전 국악그룹 ‘the 林’의 연주로 이어지며 한층 무르익었다. 거문고, 가야금, 해금 등의 전통 악기에 강력한 타악기와 기타, 베이스까지 더해진 ‘퓨전 국악’은 전통의 흥겨움과 이국적 신선함이 묘하게 결합된 선율로 관객들을 사로잡았다. 뒤이어 무대에 선 소리꾼 김용우는 색소폰 연주자 이정식의 반주로 각설이 타령을 부르며 자연스런 ‘크로스오버’를 만들어냈다. 이정식은 재즈 형식으로 편곡된 ‘휘파람’ ‘뱃노래’ 등도 연주했다. 관객들은 낯설음과 신선함이 공존하는 이 새로운 음악에 박수와 환호를 보냈다.

    CBS 허미숙 편성국장은 “남의 ‘국악’과 북의 ‘조선 음악’은 우리의 정서 속에서 자연스레 통한다. 음악으로 서로의 공감대를 만들려면 바로 거기서 출발해야 한다고 생각했다”며 “남북이 만나고, 또 다른 문화들이 섞이면서 새로운 하나를 만들어내는 과정을 일단은 음악을 통해서라도 실현하고 싶었다”고 설명했다.

    통일을 섣부르게 외치지 않고 김원중의 ‘직녀에게’, 정태춘·박은옥의 ‘봉숭아’ 등 기다림과 만남을 주제로 한 음악들을 이어가며 자연스레 주제의식을 드러낸 점도 의미 있었다.

    북측 참여 전혀 없어 ‘아쉬움’

    아쉬운 점은 공연 장소가 금강산이었을 뿐 북측의 참여는 전혀 없었다는 점. 남측의 음악인들이 군사분계선을 넘어 만난 이들은 다시 남측의 관객들이었다. 평소에 평양 교예단이 공연을 펼치는 600여석 규모의 작은 공연장은 남측의 관객들만 수용하기에도 벅차서 사람들은 통로와 좌석 뒤 공간까지 빽빽이 들어찬 채 공연을 감상해야 했다. 서로 ‘크로스오버’할 대상인 북측 사람들은 아무도 참여하지 않았다.

    이에 대해 지웅 부장은 “넓은 야외에서 남북이 함께 즐길 수 있는 공연을 하는 것이 앞으로의 목표다. 올해는 현실적 제약 탓에 어려웠지만, 내년에는 북측의 방송국과 공동으로 콘서트를 열어 서로 만나고 ‘통하는’ 장을 만들어낼 것”이라고 밝혔다. “우리 음악이 바탕이 된 콘서트가 남북으로 찢어진 우리 민족의 정서를 어루만지고 우리가 하나라는 사실, 하나로 통해야 한다는 사실을 실감하게 할 수 있었으면” 하는 바람에서다.

    9월 초 금강산 일원에서 ‘금강산 통일 마라톤 대회’를 여는 등 ‘남북의 평화와 협력을 위한’ 금강산 프로젝트를 이어가고 있는 CBS는 앞으로 ‘통해야’ 콘서트를 매년 정례화해 남북이 ‘통하는’ 장으로 만들어갈 계획이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