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392

2003.07.10

리더십은 배워서 키우는 거야!

연령·계층 구분 ‘맞춤형 리더십 교육’ 확산 … ‘특별 능력’에서 ‘보편 능력’으로 인식 변화

  • 이남희 기자 irun@donga.com

    입력2003-07-03 14:45: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리더십은 배워서 키우는 거야!

    6월14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 대서양홀에서 열린 ‘주니어 리더십 페스티벌’ 현장.

    ”리더십은 단지 타인을 이끄는 능력을 의미하는 것이 아닙니다. 자신을 스스로 이끌고 통제하는 능력이 우선해야죠.”

    6월14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 대서양 홀에서 열린 ‘주니어 리더십 페스티벌’ 현장. 글로벌 리더를 꿈꾸는 10대들을 대상으로 한국리더십센터 대표 김경섭 박사, 박원순 변호사, ‘나는 희망의 증거가 되고 싶다’의 저자 서진규씨 등 12명의 유명인사가 ‘청소년 리더십’에 대한 강연회를 열었다. 3000여명의 학생과 학부모, 교사가 이 페스티벌에 참가해 ‘리더십 키우기’ 강의에 귀를 기울였다.

    ‘리더십’이 사회생활을 하는 데 꼭 필요한 중요한 능력으로 간주되면서 최근 리더십 교육 산업이 ‘뜨고’ 있다. 지금껏 ‘리더십’은 정치가나 전문경영인 등 사회지도층의 전유물이며, 특별한 사람이 타고나는 능력으로 인식돼왔다. 그러나 이제 리더십은 ‘일반 사람들이 학습과 경험을 통해 기를 수 있는 보편적 능력’으로 간주되기 시작한 것. 이에 따라 청소년, 대학생, 여성, 교사, 정치인, 종교인, CEO(최고 경영 책임자) 등 다양한 계층을 대상으로 한 ‘맞춤형 리더십 교육’을 하는 기관들이 속속 생겨나고 있다. 교육 내용도 인성 수양, 자기통제부터 대인관계 기술까지 넓은 스펙트럼을 자랑한다. 40여개에 이르는 리더십 교육 관련 사이트들과 ‘리더십’ 관련 서적의 홍수도 리더십 교육 산업의 번창에 한몫한다.

    교육기관 급증·관련 서적 홍수

    이중 리더십 교육 산업의 선두주자는 한국리더십센터다. 1994년 스티븐 코비의 ‘성공하는 사람들의 7가지 습관’을 도입하며 리더십 교육을 시작했던 한국리더십센터는 올 여름 ‘청소년 리더십 워크숍’ ‘대학생 리더십 워크숍’ ‘신뢰받는 시민사회운동가를 위한 리더십 워크숍’ 등 계층을 세분화한 프로그램을 내놓았다. 특히 청소년을 위한 워크숍의 경우 7월 말, 8월 초로 예정된 과정이 모두 6월 중순에 마감될 정도로 인기가 높았다. 이 프로그램은 청소년의 발표력과 토론능력을 높이고, 진로 모색을 돕는 데 주력하고 있다. 비슷한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하지만 대학생 리더십 워크숍의 경우 장점을 계발하고, 직업능력을 찾아낼 수 있도록 동기부여하는 데 더 큰 관심을 쏟는다. ‘자기통제능력’을 강조하는 한국리더십센터 특유의 교과과정은 ‘인성교육’의 색깔이 강하다.



    대학도 서서히 ‘전문 리더십 교육’을 도입하는 추세다. 현재 리더십 교육이 정규과정으로 도입된 학교는 숙명여대, 한국과학기술원(KAIST), 한동대, 대전보건대 등 10개교에 이른다. 대학 교육과정의 경우 ‘인성교육’뿐 아니라 ‘실무능력 개발’에도 관심을 보이고 있다. 특히 여대의 경우 ‘사회가 요구하는 여성 리더 육성’을 목표로 경쟁적으로 리더십 교육기관을 설립하고 있다. 가장 적극적으로 나선 곳은 숙명여대. 숙명여대는 지난해 말 ‘리더십센터’를 설립하고 이의 활성화를 위해 이경숙 총장을 비롯한 100명의 교수와 90명의 교직원이 먼저 ‘리더십 워크숍’ 과정을 이수한 바 있다. 올해 1학기에는 학부생을 대상으로 하는 2학점짜리 교양 과정, ‘리더십 워크숍’이 처음으로 개설되기도 했다. 수업에 참여했던 경영학과 4학년 김희진양은 “인간관계를 이끌어가는 능력을 배우고 싶어 리더십 수업에 참가하게 됐다”며 “팀 프로젝트에서 다른 동료들과 의견차가 생겼을 때 갈등 없이 내 의견을 관철할 수 있는 조정능력을 배우게 된 것이 가장 큰 수확”이라고 꼽았다. 숙명여대 리더십센터 강형철 대표는 “리더십센터의 궁극적 목표는 평범한 사람이 자신을 통제하고 세계를 변화시키는 보편적인 힘을 기를 수 있도록 돕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화여대의 경우 9월 재학생과 일반인 모두를 대상으로 하는 ‘이화리더십개발원’을 오픈할 예정이다. 한 관계자는 “아직 공개할 만큼 프로그램이 확정된 것은 아니지만 한국땅에 살고 있는 다양한 계층의 여성이 현업에서 실질적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이화리더십개발원의 설립 배경”이라고 귀띔했다. 이대 국제교육원은 이에 앞서 지난해부터 매일경제와 제휴해 글로벌 톱리더 과정을 진행해오고 있다. 국회의원, 공무원, 언론인, 기업체 임원, 교수 등 사회지도층을 대상으로 한 이 과정에 참가한 이들은 협상, 의사소통 기술 등을 배우고 리더십 다면평가를 통해 개인의 리더십에 대한 컨설팅을 받았다. 정동영 정범구 의원, 성기영 KBS 아나운서 등이 이 과정을 이수했다.

    리더십은 배워서 키우는 거야!

    ‘주니어 리더십 페스티벌’에서 강연자로 나선 서진규씨는 학생들에게 “자신의 인생을 주도적으로 이끄는 멋진 반항아가 돼라”고 말했다(왼쪽). 숙명여대 이경숙 총장은 ‘미래의 여성 지도자 양성’을 목표로 적극적으로 리더십 교육 프로그램을 도입했다.

    리더십 교육은 더 이상 오프라인에 국한되지 않는다. 사이버교육 전문업체 아이빌소프트는 6월 중순 시뮬레이션 게임을 통해 리더십을 향상시키는 프로그램인 ‘버추얼 리더’에 대한 설명회를 열고, 8월 제품을 출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기존의 리더십 교육이 강의 혹은 체험 워크숍 형식으로 이뤄졌다면, 이 프로그램은 학습자가 3D 캐릭터와 상호작용하며 비즈니스 상황 속에서 리더십을 키우도록 돕는다. 프로그램 이용자는 이직한 회사 인사담당자와의 첫 면담, 고객 유지율 향상을 위해 소집된 대책회의, 내부 감사 담당 이사와의 미팅 등 구체적 상황에서 어떻게 리더십을 발휘할지 경험해볼 수 있다. ‘리더십’이란 화두는 이제 사이버세계에까지 진출한 것이다.

    ‘리더다운 리더’ 없는 현실 반영?

    이렇듯 리더십 교육 과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지만, 일부에서는 “리더십 교육이 보편화됐다고 보긴 어렵다”고 지적한다. 2박3일간 이수하는 교육과정도 적게는 40만원에서 많게는 200만원 상당의 비용이 들기 때문이다. 리더십 교육의 수혜자도 결국 경제력 있는 사회지도층에 머물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이에 대해 한국리더십센터의 이석휘 팀장은 “보통사람들도 경제적 부담 없이 리더십 교육 과정을 수료할 수 있도록 학교, 회사 간의 연계를 강화해 가고 있는 중”이라고 말했다.

    리더십 교육 과정의 효용성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는 시각도 있다. 인성과 자기관리에 대한 수업은 사람들이 흔히 알고 있는 뻔한 내용이기 쉽고, 고위층을 대상으로 한 일부 리더십 강좌는 ‘학습’보다 ‘인적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수단으로 전락해버릴 수 있다는 지적이다.

    하지만 리더십 교육 산업은 당분간 더욱 성장할 조짐을 보인다. ‘리더십’ 개념이 학문으로서 체계적으로 정립되고 있으며, 많은 사람들이 리더십을 통해 미래의 비전을 갖기를 꿈꾸기 때문이다.

    리더십 교육 산업이 번창하는 원인은 무엇일까. 6월 ‘리더십 교육 과정’을 도입한 한경 아카데미의 김대곤 국장은 리더십 교육이 뜨는 이유를 “과거 리더십은 ‘카리스마’와 같은 특별한 능력으로 인식됐지만, 이제 리더십은 대인관계를 맺는 데 있어 누구나 갖춰야 할 능력으로 받아들여지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한국리더십센터의 김경섭 대표는 다른 분석을 내놓았다. 높아진 리더십 교육의 열기는 ‘유통기한이 지난 권위적 리더십을 쓰고 있는 한국의 현실을 반영한다’는 해석이다. 지금까지 한국 사회에서 통용된 리더십은 권위를 앞세운 ‘질책과 꾸중의 리더십’이었지만, 현재 요구되는 것은 ‘격려와 칭찬의 리더십’이란 것이다. 그는 “패러다임의 변화에 발맞춰 시대가 원하는 리더십을 갖추기 위해 사람들이 리더십 교육 과정에 더욱 관심을 보이게 됐다”고 말했다.

    삼성사회정신건강연구소 소장 이시형 박사는 “리더십에 대한 관심의 증가는 ‘리더다운 리더’가 없는 현실을 반영한 것이 아니겠냐”면서 “리더가 되길 원하는 한국인의 속성과 원칙 있는 리더십을 바라는 사회의 요구가 맞물려 있는 이상 ‘리더십 교육’ 붐은 당분간 지속될 것”이라 내다봤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