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340

2002.06.27

‘전통과 현대’ 어우러진 퓨전무대

  • < 장은수/ 연극평론가·한국외대 교수 >

    입력2004-10-15 15:07: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전통과 현대’ 어우러진 퓨전무대
    서울공연예술제가 소리없이 끝난 대학로는 월드컵 축구에 무대를 거의 내어주다시피 했다. 배우도 소품도 없이 오로지 대형 스크린 하나로 진행되는 90분짜리 공연. 일찍이 이처럼 관객을 열광의 도가니로 몰아넣은 무대가 또 있었을까? 그렇다. 이렇게 함께 앉아 흥분하고 폭발하게 만드는 무대야말로 관객이 진정 연극에서 찾는 것이리라.

    한국과 일본의 월드컵 공동개최를 계기로 정동극장이 기획한 가무악극 ‘연오랑과 세오녀’는 총체극이라는 이름 아래 흥겨운 무대를 시도했다. 극의 소재는 삼국유사에 나오는 설화인데 신라의 어부 연오랑과 그의 아내 세오녀가 바위에 실려 일본으로 건너가 왕이 되고 그 뒤 신라는 해와 달이 사라진 암흑천지가 되었다는 이야기다.

    여러 작품을 통해 ‘전통의 동시대화’를 추구해 온 연출가 이윤택은 연극과 음악, 무용의 가무악을 총동원해 전통과 현대의 대중성이 한자리에서 만나는 퓨전 무대를 만들어냈다. ‘태풍’의 에어리얼처럼 푸른 그네를 타고 객석을 바다삼아 공중을 나는 환상적 정령이 나타나는가 하면, 바다에서 튀어오른 거대한 모형고래는 세 개의 숨구멍 사이로 광대들의 너스레를 물기둥처럼 뿜어댄다. 원시 일본에서는 해안부족들이 뒤통수에 탈바가지를 쓰고 병신춤을 추는가 하면, 신라에서는 사라진 해와 달을 다시 불러오는 비나리 굿판이 벌어진다.

    ‘전통과 현대’ 어우러진 퓨전무대
    원일이 작곡한 음악은 비나리, 별신굿, 민요 등의 전통가락을 기본으로 삼았다. 무대 앞쪽 좌우에 4명씩 자리잡은 온누리예술단은 가야금, 대금과 전통타악기, 그리고 다듬이까지 연신 신명나게 두들겨댔다. 코러스를 맡은 동랑댄스앙상블은 해와 달의 정령이 되어 우아한 군무로 서막을 열더니, 푸른 비단으로 파도를 만들어내며 객석 사이를 누비고 다니다 해돋이 주문에선 아예 힙합까지 흔들어댔다.

    이윤택은 새 천년에 들어서면서 ‘해를 띄우는 굿판작업’에 유난히 관심을 보여왔다. 김영욱이 대본을 쓴 이번 작품도 그 연장선상에 있다. 1999년 말 밀레니엄의 해를 올리며 선보였던 ‘일식’과 2000년 7월 LG아트센터에서 공연됐던 ‘도솔가’에서처럼, ‘연오랑과 세오녀’의 대단원 역시 사라진 해를 띄우는 비나리 코러스로 장대하게 막을 내린다.



    ‘연오랑과 세오녀’는 환상적인 멜로디와 신나는 리듬, 풍성한 볼거리, 배우들의 해학이 넘쳐나는 무대였다. 쉽게 와 닿으면서도 변화무쌍한 음악은 극의 생동감을 배가해 주었다. 하지만 좋은 목소리에도 불구하고 연오랑(김경익)과 세오녀(이윤주)는 발성과 호흡 부족으로 유려한 아리아곡을 충분히 소화해내지 못하는 아쉬움을 남겼다.

    설화에서는 해와 달이 사라진 것으로 그치지만, 연극무대에서는 새로운 시대가 약속된다. 세오녀가 직접 짠 비단을 타고 바다를 건너 신라로 돌아와 다시 해를 띄운다는 것이다. 그런데 달을 상징했던 세오녀만 돌아오고 정작 해를 상징하는 연오랑이 일본에 남아 ‘영원히 지지 않는 태양의 나라’를 만든다는 마무리는 급조한 흔적도 보이거니와, 아무래도 그대로 받아들이기에는 무리가 있다. 태양은 어느 나라에서나 뜨고 지게 마련이니까(6월30일까지, 정동극장).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