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279

2001.04.12

8人의 앵글 … 8色의 세상

  • 입력2005-02-24 14:28: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8人의 앵글 … 8色의 세상
    요즘 미술 전시장에서 사진작품을 만나게 되는 것은 더 이상 새삼스런 일이 아니다. 그 중에서도 현대미술의 문맥 속에서 바라볼 수 있는 사진전이 열리고 있어 관심을 끈다.

    평창동에 위치한 토탈미술관에서 열리고 있는 ‘삶의 시간, 시간의 얼굴전’(3월30일∼4월28일)이 바로 그것. 이 전시는 사진을 전공한 작가와 서양화를 전공한 작가 여덟 명이 함께한다.

    사진이란 매체를 통해 우리가 지금 살고 있는 시대의 현실과 삶의 단면을 드러내는 전시.

    90년대로 접어들면서 미술계 내부에 본격적으로 진입하게 된 사진은 현대미술의 독자적인 한 장르로 확고한 위치를 잡아가고 있다. 이런 배경을 전제로 이번 전시에 참여하고 있는 작품을 하나씩 살펴보자.

    8人의 앵글 … 8色의 세상
    먼저 전통적인 서양화에서 출발해 최근 사진을 본격적으로 활용하는 이강우는 20대 대학생의 전신과 갖가지 색으로 염색한 머리를 촬영한다. 자신의 신체를 인위적인 색채로 가득 채우려는 20대의 욕망과 삶의 양태를 객관적으로 기록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곧 도시 풍경의 주인공이 ‘인간’으로 변했고, 그 풍경을 채우고 있는 것은 젊은이들의 화려한 ‘색채신체’임을 암시한다.



    작가 자신의 아들을 모델로 ‘나를 닮은 아이’라는 제목의 시리즈를 출품한 최은화는 자신의 분신인 아들의 모습을 통해 잃어버린 시간과 기억을 회상한다. 작가의 과거를 간직하고 있으며, 성(性)의 분화가 진행중인 아들은 현실 속의 아들을 넘어선 특별한 존재로 인식된다. 이경수는 팔순을 넘긴 아버지의 지치고 시든 모습에서 육체의 기원을 찾고 그 뿌리를 더듬어 간다. 특히 아버지의 거친 육체를 조금이라도 더 가까이에서 더 긴 시간 동안 담아내고자, 작가는 핀홀 카메라를 사용했다. 김현필 역시 이경수와 비슷한 관점에서 외할머니의 모습을 3년여 동안 카메라에 담아왔다. 외할머니의 육체성과 아울러 가족이라는 관계에 주목하면서 그 속에서 일어나는 갈등과 화해, 무관심과 걱정의 일상사에 주목해 오고 있다.

    최소한의 연출을 통해 30대 주부와 평범한 가정의 권태와 무기력을 드러내는 이선민의 작품은 다분히 비극적이다. 작가는 실제 30대 가정 속에서 일어나는 일상에 일정한 거리를 두면서 조심스럽게 끼여들어 공허한 행복과 사랑, 잊히는 젊은 날의 꿈 등을 나른하게 드러내고 있다. 그런가 하면 조용준은 40, 50대 남성의 무기력과 심리적 공황상태를 영화의 한 장면처럼 보여준다. 사진 속 세계는 일상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작가에 의해 철저하게 연출된 비일상의 세계다. 작품 속 인물은 오늘날 한국 사회를 살아가는 중년 남성의 출구 없는 삶과 위로받을 길 없는 불안을 강하게 전달하고 있다.

    최광호는 장인의 죽음과 지하철에서 잠들어 있는 인물을 카메라에 담았다. 파괴적 시간의 궁극적 양상인 죽음과 현실에서의 잠은 유사성을 갖는다. 일상의 잠은 피할 수 없는 죽음의 예시이며, 죽음을 향해 가는 삶의 모습이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김옥선은 에로티시즘이 완벽히 제거된 여성 누드사진을 찍는다. 작가는 벌거벗은 여성의 육체와 그 육체가 거주하는 현실을 냉철한 시각으로 객관화하고 기록한다.

    이번 전시를 기획한 최봉림씨(사진비평·홍익대 겸임교수)는 “유-소년기, 청년기, 동년배의 삶, 선배와 부모, 그리고 죽음까지 아우르면서 사진의 다양한 재현 형식을 보여준다. 이를 통해 젊은 (사진)작가들이 우리시대의 얼굴과 몸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지, 그리고 그들이 사진으로 구현한 오늘날 한국인의 총체적 삶은 어떤 모습인지 조명하고자 한다”고 기획 의도를 밝히고 있다(문의:02-379-3994)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