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1136

2018.05.02

황승경의 on the stage

청소년을 배려하지 않은 난해한 무대

연극 | 청소년극 ‘사물함’

  • 입력2018-04-30 17:30:27

  • 글자크기 설정 닫기
    [사진 제공 · 국립극단]

    [사진 제공 · 국립극단]

    국제아동청소년연극협회가 만든 ‘아동청소년 연극 헌장’ 제2조는 ‘아동청소년 연극은 성인 연극과 우열의 차이가 아니라 형식과 목표의 차이가 있을 뿐이다’라고 명시하고 있다. 즉 수준 차이는 없고 보여주는 외관만 다를 뿐이라는 얘기다. 우리나라에는 현재 국립아동청소년극단은 없고 국립극단(예술감독 이성열)에 소속된 어린이청소년극연구소가 있다. 지난해 국립극단의 청소년극 창작 인큐베이팅 프로그램 ‘예술가청소년창작벨트’에 선정돼 낭독공연을 가진 ‘사물함’이 국립극단 무대에 올랐다. 그러나 이 공연은 성인 연극과 형식이나 목표의 차이를 느낄 수 없었다. 처음 청소년극 연출을 맡은 젊은 연출가는 성인 연극 같은 추상적인 무대언어로 극을 풀었고, 줄거리를 알던 필자도 이해하기 어려운 심오한 무대언어를 청소년은 얼마나 이해했을까 하는 생각을 했다. 

    고등학생 ‘다은’은 편의점에서 아르바이트를 하며 폐기음식을 분석하는 1인 인터넷 방송을 만든다. 할머니와 단둘이 살며 최저임금도 받지 못하지만, 언젠가 건조기를 사서 뽀송뽀송한 옷을 입을 거라고 말하는 긍정적인 소녀다. 그런데 이 꿈 많은 소녀는 편의점 창고가 무너지며 그만 죽고 만다. 다은이 일하던 편의점 사장의 딸 ‘혜민’과 편의점 건물주 손녀 ‘한결’은 애써 자신들을 둘러싼 주변의 따가운 시선을 부정한다. 다은의 유일한 친구 ‘연주’는 학교 성적이 좋은 혜민과 한결에게 접근해 함께 과외를 받는다. 이렇게 성적이라는 이해관계를 둘러싸고 슬픈 죄책감과 아픈 부채의식은 희석된다. 

    이처럼 ‘사물함’은 또래 집단의 파워게임 안에서 자신의 ‘살길’을 찾고자 분투하는 청소년에게 초점을 맞춘다. 그들 내면의 자아를 날카로운 관점으로 조망해 속살을 형이상학적으로 펼쳐 보인다. 그런데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에 대한 사유나 사색의 여지는 보이지 않는다. 청소년극이라고 반드시 교훈적일 필요는 없지만 ‘사물함’에는 우리가 왜 청소년기를 의미 있게 지나 어른이 돼야 하는지에 대한 제시가 없다. 청소년이 이 청소년극을 보고 궁극적으로 무엇을 성찰하길 바랐는지 국립극단은 설명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사다리꼴의 패션쇼 런웨이를 연상케 하는 객석 배열로 등 돌려 연기하는 배우의 대사가 잘 들리지 않아 시간을 넘나드는 장면 구성을 이해하기 어려웠다. 입체적인 무대와 협소한 음향의 비대칭은 관객의 집중도를 떨어뜨렸다. 런웨이 무대 건너편 객석에 앉은 청소년들의 시선이 무대 밖으로 자주 움직였으니 말이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