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1080

2017.03.22

법칙으로 通하는 세상

우리 집에서 남의 잔치 ‘윔블던 효과’

  • 김규회 정보 큐레이터·동아일보 지식서비스센터 부국장 khkim@donga.com

    입력2017-03-17 21:01:46

  • 글자크기 설정 닫기
    ‘우물 안 개구리’였나. 사상 처음 서울에서 열린 2017 월드베이스볼클래식(WBC) 1라운드에서 한국 야구대표팀이 일찌감치 안방을 내주며 2라운드 진출에 실패했다. 이후 서울라운드는 손님들의 독무대가 됐다. 이는 자기 집에서 남의 잔치를 하는 ‘윔블던 효과(Wimbledon Effect)’를 연상케 한다.

    ‘윔블던 효과’란 표현은 영국에서 개최되는 윔블던 테니스 대회에서 외국 선수가 자국 선수보다 우승을 더 많이 하는 데서 유래했다. 이 말은 1980년대 후반 국내시장에서 외국 기업이 자국 기업보다 더 활발히 활동하거나 외국계 자금이 국내 금융시장을 장악하는 현상을 지칭하는 뜻으로 확장됐다. 마거릿 대처(Margaret Thatcher·1925~2013) 영국 총리가 1986년 은행 구조조정과 함께 금융시장을 외국자본에 개방하고 규제를 대폭 철폐하는, 소위 ‘금융 빅뱅’을 단행한 뒤 사용되기 시작한 것이다. 그 당시 외국 대형 금융회사들이 영국에 본격적으로 진출하면서 자생력이 약한 영국 금융회사들이 외국 금융회사에 흡수, 합병됐다. 이로써 금융시장이 외국자본의 영향력 아래 놓이는 결과를 낳았다.

    그런데 ‘윔블던 효과’가 부정적 의미로만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윔블던 테니스 대회가 매년 50만 명 이상 관람객을 끌어모으듯, 영국 금융산업도 개방 이후 경쟁력이 강화돼 국부의 3분의 1을 창출하는 ‘황금알을 낳는 거위’가 됐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