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740

2010.06.07

재일동포 매년 2%씩 일본인 된다

연 8000여 명 귀화 ‘코리아계 일본인’ 급증 … 재일 중국인과 조선족은 증가

  • 도쿄=이종각 jonggak.hotmail.com

    입력2010-06-07 12:08: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재일동포 매년 2%씩 일본인 된다

    방학을 맞아 고국을 방문한 재일동포 학생들.

    일제 강점기부터 일본에 거주하는 한국인과 그 자손을 재일동포라고 부르는데, 일본에서는 이들을 ‘자이니치(在日)’라고 한다. 일본 매스컴은 재일동포를 소개할 때 ‘在日 1세’ ‘在日 3세’ 등으로 표기한다. 일제 강점기 때는 물론이고 광복 후 일본에 살고 있는 외국인의 국적으로 보면 가장 숫자가 많은 나라는 단연 ‘한국, 조선’이었다(일본 법무성은 민단계는 한국, 조선총련계는 조선으로 분류하는데, 여기서는 둘을 합쳐 이하 한국으로 표기한다).

    1945년까지 일본에 살았던 한국인 236만5263명 중 70% 이상은 광복 후 한국으로 돌아갔고, 이후 일본에 거주하는 재일동포(자손 포함)는 53만~69만 명 선이었다. 그래서 1960년대 이래로 통칭 ‘60만 재일동포’라고 했다.

    일본 관계법령은 외국인 중 3개월 이상 일본에 체류할 경우 반드시 외국인 등록을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들을 정주(定住) 외국인이라고 부르는데 이들이 10년 이상 거주 등의 일정 자격요건을 갖추면 영주 자격을 부여한다. 그리고 일본의 식민지였던 조선과 타이완(臺灣) 출신으로 당시 내지(內地)라고 불렀던, 일본에 와서 살다가 전쟁이 끝난 뒤에도 남은 조선·타이완 출신자와 그 자손은 특별 영주자라고 한다.

    이런 규정에 따라 외국인 등록을 마친 사람들 가운데 재일동포가 차지하는 비율(예를 들면 1947년 59만8507명으로 93.6%)은 오랫동안 부동의 1위였다. 그러나 2005년 말 기준(법무성 통계)으로 60만 명 선이 처음 깨진 뒤 계속 감소해 2007년에는 59만3489명으로 사상 처음 2위로 내려갔다. 대신 중국 출신이 처음 60만 명을 넘어서면서(60만6889명) 1위가 됐다. 중국 출신자는 중국의 경제발전에 따른 해외유학 증가 등으로 매년 폭발적으로 증가, 불과 10년 사이에 약 2.4배가 불어났다.

    결혼과 동시에 귀화



    2008년 통계를 보면 일본에 살고 있는 외국인은 221만7426명(법무성 조사 외국인등록자수)으로 일본 전체 인구(1억2769만2000명)의 1.74%를 차지한다. 외국인 출신자 비율이 10% 정도인 유럽 주요국에 비하면 그리 높은 편은 아니다. 그러나 10년 전보다 재일 외국인은 1.5배로 증가했다. 세계에서 가장 높은 물가 등으로 외국인이 생활하기 어려운 나라 중 하나인 일본에도 외국인이 상당히 많아진 셈이다.

    그 가운데 중국인이 65만5537명(전년도 대비 약 5만 명 증가)으로 전체의 29.4%를 차지한다. 반면 한국인은 전년도에 비해 4250명이 감소한 58만9239명(전체의 26.6%)으로 2위에 그쳤다. 이 가운데 특별영주자로 분류된 재일동포가 41만6309명이다.

    한국 출신자가 감소하는 원인은, 일본으로 귀화하는 이가 꾸준히 늘고 있기 때문이다. 일본인과 재일 한국인의 결혼은 1989년 처음 연간 1만 명을 넘어섰고(후생노동성 인구동태 통계), 1990년대 이후에는 매년 7000~1만 명 선을 기록하고 있다. 이 중 90% 이상이 일본 국적을 취득했는데, 2008년 말까지 귀화 한국인 누계는 29만6168명에 달한다. 재일동포 40만 명 중 연간 8000명가량이 귀화한다고 보면 매년 100명 중 2명 정도가 일본인이 되는 셈이다. 이는 일본 사회로의 동화 현상이 가속화하고 있음을 말해준다.

    1980년대 이후 유학을 와서 졸업 후 일본에서 취직해 살거나, 비즈니스 문제 등으로 일본에 정착한 이른바 ‘뉴 커머(new comer)’가 꾸준히 늘고 있지만, 기존 재일동포가 귀화하거나 노령층이 사망하면서 한국 출신자의 감소 추세가 매년 이어지고 있다. 한국의 경제발전과 민주화, 한류 붐 등의 영향으로 일본 사회에서 재일동포에 대한 편견, 차별, 멸시 등은 많이 줄어들었다. 그러나 결혼·사업 등에서는 여전히 한국인이란 사실이 부담이 돼, 어차피 일본에 살 바에는 일본 국적을 갖는 것이 유리하다고 판단해 귀화하는 사람이 계속 느는 것이다.

    또한 비교적 젊은 층인 뉴 커머 중 일본인과 결혼한 뒤 국적을 바꾸는 이도 많다. 이는 젊을수록 국적과 민족적 아이덴티티(동질성)를 별개로 생각해 일본인이 되는 것에 거부감이 없기 때문이다. 일본 귀화를 미국 시민권을 얻는 것과 마찬가지로 여긴다.

    재일동포 매년 2%씩 일본인 된다

    한국 대통령의 방문을 환영하며 태극기를 흔드는 재일동포.

    롯데그룹 신격호(辛格浩) 회장이나 이종격투기 추성훈(秋成勳) 선수가 일본 국적을 취득하면서 각각 시게미쓰 다케오(重光武雄), 아키야마 요시히로(秋山成勳)라는 일본 이름으로 바꾼 것처럼 보통 재일동포는 귀화하면 이름도 일본식으로 바꾼다. 편견과 차별을 피해 귀화하는 만큼 한국 출신임을 감추는 것이다. 법적으로 귀화한 것은 아니지만 한국식 본명보다 통성(通姓)이라 부르는 일본식 이름을 사용하는 이도 상당히 많다.

    그러나 1980년대 말 이후, 귀화했어도 한국식 이름은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이른바 ‘코리아계 일본인’의 등장이다. 미국 등에서 말하는 이탈리아계 미국인이나 한국계 미국인과 같은 개념이다. 소프트뱅크의 손정의(孫正義) 회장, 파친코업계 최대 그룹인 마루한의 한창우(韓昌祐) 회장, 축구선수 이충성(李忠成) 등이 대표적이다.

    손 회장의 경우 한자는 그대로지만 일본식으로 ‘손 마사요시’라고 읽는다. 베이징올림픽 예선 일본 국가대표로 선발됐던 이충성 선수도 ‘리 다다나리’로 불린다. 반면 2000년 귀화한 한 회장은 “귀화해 성공한 한국계로 살아가자”는 지론에 따라 ‘한창우’란 한국식 발음을 고집한다.

    ‘재일코리안 일본국적취득권확립협의회’의 이경재(李敬宰) 회장도 2006년 한국 이름 그대로 귀화했다. 그는 “일본 이름으로 ‘일본인’과 뒤섞여 살아가는 것이 아니라 ‘코리아계 일본인’으로 살아가는 것을 보여주고 싶다”고 일본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밝힌 바 있다.

    3개 국어 가능한 ‘재일 조선족’ 급증

    서울에서 도쿄로 출장 온 지인과 신주쿠(新宿)에 있는 술집에 들렀더니 아르바이트생 명찰에 ‘權·#52060;·#52060;’라는 한국식 이름이 보였다. “어디에서 왔느냐”고 물었더니 “옌볜(延邊)에서 유학 왔다”고 대답했다.

    일본으로 유학 온 이유를 묻자, “조부모가 안동 출신이라 한국에 가고 싶었지만 아무래도 선진국인 일본이 배울 게 더 많을 것 같아서”라고 했다. 현재 한국에 체류하는 조선족(약 40만 명)에 비하면 그 수가 적지만, 일본에도 조선족의 진출이 늘고 있다. 조선족은 국적이 중국이어서 재일 중국인 가운데 정확히 얼마인지 파악하기 힘들지만 2009년 말 현재 약 5만 명으로 추산한다.

    일본에서 생활하고 있는 조선족은 대체로 일본어, 중국어, 한국어 3개 국어를 할 수 있다는 것이 강점이다. 2009년 말 도쿄에서 열린 재일 조선족 주최 심포지엄에 참석한 중국 중앙민족대학 황유복(黃有福) 교수는 “(동북아시아 각지에서) 언어 소통이 가능한 조선족은 동아시아공동체 구성에서 선두에 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1980년대 조선족 자치주의 인기가수였던 김경자 씨가 일본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중국인도, 한국인도, 일본인도 될 수 없는 모호한 존재”라고 한 것에서도 알 수 있듯이 이들도 정체성 문제로 고민하고 있다.

    재일동포 매년 2%씩 일본인 된다


    혐한은 줄고 혐중은 늘어나

    재일동포 매년 2%씩 일본인 된다

    1985년 재일 한국인에 대한 강제지문 날인을 거부하며 서명운동을 벌이는 모습.

    ‘욘사마’란 용어가 상징하는 한류 붐의 영향 등으로 한국과 한국인에 대한 일본인의 인식은 상대적으로 많이 개선됐다. 1990년대까지만 해도 한국 유학생이 방 구하기 힘들다고 하소연했지만 지금은 그런 혐한(嫌韓)의 감정은 줄어든 편이다. 대신 각종 여론조사에서 혐중(嫌中)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

    이는 재일 중국인의 수가 크게 늘어난 것과 관계가 깊다. 일본 음식점이나 대중술집인 이자카야(居酒屋) 등에서 아르바이트를 하는 외국인 가운데 더러 한국 학생도 눈에 띄지만, 중국인이 압도적으로 많다. 통계를 보면 일본 대학에서 공부하는 해외유학생 숫자는 1980년대까지 한국이 1위였으나, 2009년 5월 말 현재 외국유학생(13만2720명) 중 중국 출신이 전체의 약 60%(7만 9082명)로 단연 1위다. 어학 연수생도 4만1313명(2008년 말 현재)으로 중국 출신이 가장 많다.

    이들 중 상당수가 졸업 후 귀국하지 않고 일본에 남아 취직하거나 사업을 하면서 본국의 배우자와 자녀까지 불러들여 재일 중국인의 수가 크게 늘고 있다. 그러나 불법체류자를 포함한 재일 중국인의 증가는 중국인에 의한 범죄 증가로 이어져 많은 사회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특히 후쿠오카(福岡) 일가족 4명 살해사건(2004년) 등 흉악사건에 관련된 경우도 많아서, 중국인에겐 방을 빌려주지 않으려는 일본인이 상당수다.

    고이즈미(小泉) 정권(2001.4~2006.9) 때에는 야스쿠니(靖國) 신사 참배 문제를 둘러싸고, 중국에서 대규모 반일시위가 벌어져 중국에 대한 일본의 감정은 우호적이지 않다. 2005년 이래 내각부 여론조사에서 중국에 ‘친밀감을 느끼지 않는다’고 답한 비율이 60% 전후를 기록한 데 반해, 한국에 ‘친밀감을 느끼지 않는다’는 응답은 40% 전후에 그쳤다. 이처럼 한일강제합병 이후 100년 동안 재일 외국인을 대표해왔던 재일동포는 귀화 증가와 재일 중국인의 급증으로 일본 사회에서 위상이 변화하고 있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