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374

2003.03.06

나는 그를 모른다

  • 최혜실 / KAIST 교수·문학평론가

    입력2003-02-27 13:11: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나는 그를 모른다
    새벽에 택시를 탄다. 운전석의 남자와 나는 표면적으로는 기사와 승객의 관계다. 그러나 그 사실 외에 ‘나’는 ‘그’에 대해서 아무것도 모른다. 어떻게 자라왔으며 어떤 품성을 가졌으며, 심지어 실제 직업이 무엇인지도 모른다.

    단지 운전석에 앉았다는 사실 때문에 나는 그가 택시운전사의 역할을 하리라고 생각할 뿐이다. 그가 정신병력이 있는지, 병역을 마쳤는지, 최근 신용불량자가 되어 경제적으로 고통받고 있는지, 가정불화가 있는지 알 길이 없다. 그런데 그가 만약 택시강도라면, 이미 부녀자들을 몇 명이나 살해한 범죄자라면….

    늦은 밤 귀가 길에 갑자기 인기척이 느껴질 때 불안하다. 나의 걸음이 빨라질 때마다 그 사람의 걸음도 같은 속도로 빨라진다. 나는 그를 모른다. 그 또한 혼자 밤길을 걷는 것이 무서워 같이 걸을 사람이 필요했을 수도 있다. 그러나 만일 그가 나의 돈과 생명을 노리는 강도라면….

    익명의 군중 ‘위험한 관계’ 대구 참사로 끔찍한 상기

    밤늦게 택시 타기가 불안해서 지하철을 탄다. 여러 명의 승객들이 내 옆에도 앉아 있고 내 앞에도 서 있다. 나와 그들은 같은 라인에 있는 목적지를 향해 가기 때문에 같은 공간에 있게 된 승객이다. 우리들은 목적지의 방향이 비슷해서 이 지하철을 탄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표면적인 목적일 뿐, 그것 외에 나는 내 주위에 있는 사람들에 대해 아무런 사전지식이 없다. 그런데 만일 옆 좌석의 승객이 사실은 분신자살을 하기 위해 그 열차에 탔다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혼자 죽는 것이 억울해 너 죽고 나 죽자는 식으로 준비해온 휘발유에 불을 붙이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과거 농촌 공동체에서는 구성원들에 대한 지식이 있었다. 때문에 갈등이 생겨도 구성원 간의 이해관계만 조정되면 문제가 해결되었고, 그 사람이 내게 적대적인지 우호적인지도 대강 파악할 수 있었다. 그러나 대도시의 군중들은 익명성을 전제로 한다. 우리는 서로에 대해 아무것도 모른다. 그가 나에게 어떤 존재인지 내가 그에게 어떤 의미인지 우리는 알 길이 없다.

    휘발유를 뿌리고 불을 붙인들, 대낮의 들녘이라면 피해는 몇 명에 불과할 것이다. 그러나 우리는 지하철에 대해 모른다. 열차가 오면 물러서고 문이 열리면 타고, 역 이름이 호명되고 문이 열리면 열차에서 내린다. 표를 넣으면 개폐기가 열린다. 그러나 이 복잡한 기계가 어떤 경로를 거쳐 작동하는지 전혀 모른다.

    우리는 복잡한 기계장치의 지시에 따라 수동적으로 움직이는 존재일 뿐이다. 문이 작동되는 방법을 모르니 열차에 불이 나도 나올 수 없고 자동적으로 차단되는 장치 때문에 밖으로 나올 수도 없다. 할 수 있는 일이라고는 그 자리에 앉아서 기계가 전처럼 우리가 아는 방식으로 작동하기를 기도하는 것밖에 없는 것이다.

    우리는 우리가 현재 쇼핑하고 있는 건물이 어떻게 지어졌는지 잘 모른다. 그 벽에 균열이 생겼는지, 소방시설이 제대로 돼 있는지 모른다. 때문에 부실공사로 건물이 무너져내리면 그 자리에서 속수무책으로 깔려 죽는 수밖에 없다. 그나마 휴대전화로 사랑하는 사람에게 메시지 남길 시간이라도 주어지면 그 ‘행운’에 감사하면서 말이다.

    그러고 보면 우리가 아무 생각 없이 지나가는 공간, 스쳐지나가는 사람들과의 관계는 참으로 위험하다. 우리의 편의를 위해 작동되는 온갖 장치들은 그것에 작은 균열만 생겨도 약간의 차질만 빚어져도 살인병기로 변하여 우리의 생명을 위협하고 우리의 정신을 파괴한다.

    얼마 전 대구에서 가슴 떨리는 참사가 일어났다. 그것은 사람과 사람이 맺는 피상적 관계가, 그리고 사람이 수단으로서 기계와 맺는 관계가 얼마나 위험한 것인지 우리에게 몸서리쳐지도록 상기시켜주는 비극이었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