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1005

2015.09.14

복원 10년 맞는 청계천 다시 보기

2년 3개월 만에 끝난 대공사…도시를 움직이는 스펙터클의 정치학

  • 정석 서울시립대 도시공학과 교수 jerome363@uos.ac.kr

    입력2015-09-14 10:53: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복원 10년 맞는 청계천 다시 보기

    복원사업이 끝난 후 청계천 모습.

    한강 없는 서울을 상상할 수 없듯, 청계천 없는 서울 또한 상상하기 힘들다. 북쪽 백악과 남쪽 목멱에서 흘러내린 물은 개울을 이뤄 도성의 가장 낮은 곳 청계천에서 만났고, 이렇게 모인 물은 다시 동쪽으로 도성 한복판을 가로지른 뒤 중랑천과 어우러져 한강으로 흘렀다. 한강이 한양도성의 바깥물(외수)이라면 청계천은 안물(내수)이고 또한 명당수(明堂水)였다.

    조선시대 청계천은 어떤 모습이었을까. 사료에 따르면 건국 초기부터 청계천을 둘러싼 논쟁이 있었다. 청계천을 깨끗하고 맑게 유지할지 아니면 도성의 생활쓰레기를 배출하는 통로로 쓸 것인지에 관한 논란이었다. 이 논쟁은 아마도 현실적인 이유로 쉽게 정리된 듯하다. 청계천을 깨끗하게 유지하려고 도성 안을 쓰레기로 넘치게 할 수는 없었을 테니 말이다. 결국 청계천은 한양도성 사람들이 먹고, 싸고, 쓰고 버린 것을 담아내는 거대한 쓰레기 배출구이자 하수구 구실을 했다.

    우리나라 하천이 대개 그렇듯 청계천도 사시사철 물이 가득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건기에는 물이 찰랑찰랑 흐르거나 말랐을 테고, 여름철 비가 내릴 땐 콸콸 차올랐을 것이며, 폭우가 내리면 종종 범람했을 것이다. 그래서 청계천을 잘 관리하는 건 역대 임금들에게 아주 중요한 숙제였다.

    근대화의 그림자

    태종은 1411년(태종 11년) 개천도감(開川都監)을 설치하고 이듬해 1월부터 한 달간 약 5만 명을 동원해 청계천 바닥을 깨끗이 정리했다. 세종은 1441년(세종 23년) 물의 깊이를 헤아릴 수 있도록 수표를 설치했다. 영조는 1759년(영조 35년) 준천사(濬川司)를 설치한 뒤 다음 해 두 달간 무려 21만 명을 동원해 청계천 양측에 석축을 쌓고 대규모 준설사업을 했다. 개천 바닥에서 퍼낸 흙으로 인근에 가산(假山)이 만들어졌고, 오갈 데 없는 걸인들이 이곳에서 땅굴을 파고 생활했다고 한다. 이들에게 뱀을 잡아 팔 권리가 부여돼, 이때부터 뱀 잡는 사람을 땅꾼이라 불렀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가산만 생긴 게 아니다. 오랜 세월 반복된 청계천 범람과 준설의 결과로 한양도성 바닥도 점점 높아졌다. 서울 도심부 땅을 파면, 지표면에서 지하로 내려갈수록 각 시대의 유물이 층층이 묻혀 있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그런데 해방 후 근대 도시를 만드는 과정에서 청계천은 콘크리트 덮개 안에 갇히게 된다. 청계천 복개(覆蓋·더러워진 하천에 덮개를 씌워 보이지 않게 하는 일) 사업의 결과다. 1958년 청계천 복개사업이 처음 시작됐고 61년 동대문운동장까지, 77년에는 신답철교까지 ‘뚜껑’이 씌워졌다. 복개된 청계천 위로 고가도로가 건설됐는데 1967년 시작돼 71년 여름 완공된 청계고가도로는 우리나라 근대화의 상징처럼 여겨졌다. 그렇게 80년대와 90년대가 흘러갔다.

    청계천 복원 이야기가 나오기 시작한 것은 1990년대 초였던 것 같다. 소중한 역사문화유산을 더는 방치하면 안 된다는 역사학자들의 목소리와, 질식 지경인 청계천이 숨을 쉬고 볕을 보게 해야 한다는 환경론자들의 목소리가 커지면서부터다. 마침 청계고가도로의 안전 문제가 심각해 철거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고, 주한미군에게는 청계고가도로 통행금지령이 내려졌다는 소문도 입에서 입으로 번져갔다.

    이런 상황에서 고(故) 박경리 선생을 중심으로 ‘청계천살리기연구회’(연구회)가 결성됐고, 2000년 9월 초 이틀간 강원 원주 토지문화관에서 제1회 청계천 살리기 심포지엄이 열렸다. 당시 서울시정개발연구원에 근무하던 필자도 이 모임 초기 멤버였다. 연구회는 이듬해 다시 세미나를 개최해 청계천 복원을 공론화했는데, 이 논의는 2002년 민선3기 서울시장 선거와 맞물리면서 생각지도 않은 급물살을 탔다.

    연구회에서는 청계천 복원을 20년, 30년 정도 긴 호흡을 갖고 차근차근 추진할 과제로 여겼다. 그러나 당시 서울시장 후보들, 그중에서도 이명박 후보는 생각이 달랐다. 청계천 복원을 핵심공약으로 내건 그는 서울시장에 당선한 뒤 2002년 7월 취임 직후부터 준비 작업에 들어갔고, 이듬해 7월 1일 청계고가도로 철거를 시작으로 본격적인 복원을 시작했다.

    복원 10년 맞는 청계천 다시 보기

    청계천 복원공사가 시작된 지 한 달, 철거 중인 청계고가도로 공사 현장(왼쪽)과 1890년 무렵 청계천변.

    아쉬운 역사문화·환경생태 복원

    청계천 복원사업은 이후 많은 논란과 진통을 겪으며 진행됐다. 가장 큰 쟁점은 역사문화 복원과 환경생태 복원 문제였다. 청계천이 다시 열리면 아스팔트 아래 오랜 세월 묻혀 있던 광통교와 장충단공원 쪽으로 옮겨져 있던 수표교가 제 위치로 돌아오고, 오간수교와 석축 유적도 제자리를 찾을 것이라 기대한 전문가들은 역사 유적의 원위치 복원이 무산된 데 분개했다. 결국 2004년 9월 청계천복원시민위원회에서 집단사퇴하면서 강하게 이의를 제기했지만 흐름을 되돌릴 수는 없었다. 환경생태 복원 역시 마찬가지였다. 청계천 상류 지천을 복원해 자연하천이 되도록 하는 식의 복원 대신 한강에서 끌어온 물과 지하수를 청계천을 통해 흘려 보내는 인공하천 방식의 복원이 결정되고 말았다.

    결국 이명박 당시 시장의 공약대로 2005년 10월 1일 이른바 청계천 복원사업은 마무리됐고 개통식이 열렸다. 사업 시작 2년 3개월 만에 대공사가 끝난 것이다. 그리고 어느새 10년이 흘렀다.

    지난 10년간 청계천과 그 주변에는 많은 변화가 있었다. 아스팔트로 덮이고 고가도로까지 그 위로 지나가 그늘진 응달 같던 청계천은 이제 시민과 관광객이 즐겨 찾는 도심의 명소가 됐다. 청계천을 찾는 사람이 늘어나면서 주변 건물의 용도도 자연스럽게 바뀌어왔다. 땅값과 건물 임대료도 올랐을 테고, 자동차와 보행자의 통행량과 동선 또한 적잖게 달라졌을 것이다.

    청계천 복원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사람이 있고, 또 매우 부정적으로 보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어느 쪽이든 그 나름의 관점과 근거를 갖고 평가하는 것일 테니 존중해야 할 일이다. 다만 청계천 프로젝트를 통해 깊이 생각해봤으면 하는 게 있다. 도시에서 종종 벌어지는 이런 대형 프로젝트 속에 숨어 있는 ‘스펙터클의 정치학’이다.

    시민은 도시에 관한 주요한 일이 매우 객관적이고 합리적으로 결정될 것으로 믿는다. 전문가의 치밀한 연구와 분석을 통해 만들어진 가장 이상적인 정책이 채택되고 집행될 것으로 기대한다. 그러나 현실은 정반대다. 정치가 오히려 도시를 지배한다. 대중의 감수성과 눈높이를 예리하게 읽고 파고든 사람이 시장도 되고 대통령도 된다는 것이 그걸 증명한다. 도시는 결국 정치다. 당신이 좋은 도시를 원한다면 그만큼 당신도 정치적이어야 한다는 이야기다. 정치적으로 판단하고 정치적으로 행동해야 한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