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989

2015.05.26

“죽을 고비 수차례 넘겨…인생 후반전 문 열렸다”

세계 여섯 번째 무동력 세계 일주 항해 성공한 김승진 선장

  • 정혜연 기자 grape06@donga.com

    입력2015-05-26 10:32: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죽을 고비 수차례 넘겨…인생 후반전 문 열렸다”
    까맣게 그을린 피부, 마른 몸이 지난 210일간의 고생을 짐작게 했다. 지난해 10월 19일 충남 당진 왜목항에서 43피트(약 13m) 길이의 요트 ‘아라파니(바다달팽이)’호를 타고 단독·무기항·무원조·무동력 세계 일주를 시작했던 김승진 선장(53·다큐멘터리 PD·사진). 죽을 고비를 몇 차례 넘기면서도 희망의 끈을 놓지 않았던 그는 5월 16일 출항했던 왜목항으로 무사히 귀항했다. 사흘 뒤 서울에서 만난 김 선장은 그동안의 피로로 지친 모습이 역력하리란 예상과 달리 매우 밝은 표정이었다.

    “사람들이 말랐다고 하는데 3kg 정도 빠졌어요. 항해 중에도 하루 두 끼씩 잘 챙겨 먹었거든요. 주메뉴는 국밥과 비빔밥, 건조식품이었지만 씨앗을 수경 재배해 신선한 채소를 먹기도 했죠. 그래도 삼겹살은 참 생각이 많이 나더라고요(웃음). 도착한 첫날 목욕탕에서 여독을 푼 뒤 이튿날 희망항해추진위원회 관계자, 대학생 자원봉사자들과 함께 삼겹살 파티를 하며 소원을 풀었습니다.”

    뉴질랜드서 접한 요트 매력에 푹 빠져

    파도가 심한 바다 위에서 자다 오랜만에 육지에서 잠든 소감은 어떨까. 그는 “바람과 파도, 돌발 상황 같은 긴장과 걱정을 떨쳐버리고 잘 수 있어 오랜만에 아주 푹 잤다”고 말하며 밝게 웃음 지었다. 오히려 악몽은 출항한 직후 며칠 동안 계속됐다고.

    “단독·무기항·무원조·무동력 조건을 지켜야 하는데 깨질까 봐 노심초사했어요. 초반엔 잠이 들면 아는 사람이 찾아와 배에 태워달라고 하는 통에 기록이 깨지는 악몽을 반복적으로 꿨죠.”



    김 선장은 일본 방송영상원을 졸업하고 후지TV 외국인 1호 정사원으로 일하다 30대 후반 한국의 작은 프로덕션으로부터 스카우트 제의를 받고 들어왔다. 1년 동안 다큐멘터리 세 편을 만들었는데 회사가 문을 닫는 바람에 프리랜서PD로 전향했다. 당시 훌쩍 떠났던 뉴질랜드에서 우연히 요트를 접했다. 그는 “뉴질랜드는 ‘요트의 왕국’이다. 어디든 10분만 나가면 요트장이 있고 출항 신고 없이 자유롭게 항해할 수 있다. 처음 경험한 요트의 매력에 푹 빠진 건 그때부터였다”고 말했다.

    첫 항해는 2010년 크로아티아에서 요트를 구매한 뒤 한국까지 2만km를 가로질러 들어온 것이었다. 그 요트가 바로 이번 항해의 주역인 아라파니호다. 김 선장은 “2005년 만들어져 비교적 견고했지만 무기항 세계 일주를 하기에는 작았다. 그러나 어쩔 수 없이 예산에 맞춰 3억 원에 구매했고 한국까지 들여오는 데 운송비만 1억5000만 원이 들었다. 그런데 기항 세계 일주를 하는 7개월 동안 돈이 아깝다는 생각이 전혀 들지 않았다. 나라마다 각양각색의 항구에 들러 여러 풍물과 사람들을 만났는데 정말 멋진 경험이었다”고 회상했다.

    “죽을 고비 수차례 넘겨…인생 후반전 문 열렸다”

    세계에서 여섯 번째, 한국에서 첫 번째로 단독·무기항·무원조·무동력 세계 일주 항해에 성공한 김승진 선장.

    다음 목표는 무기항·무원조·무동력 세계 일주였다. 김 선장은 2013년 9월부터 구체적인 준비에 들어갔다. 과거 무동력 세계 일주에 성공한 이의 자서전을 읽으면서 바다에서 어떤 상황에 맞닥뜨리는지 조사했고, 그에 대비해 요트를 수리했다. 세계 일주를 하는 동안 지속적으로 기상 정보를 알려줄 육상지원팀도 꾸렸다. 우연한 기회에 알게 된 당진시 관계자의 도움으로 왜목항에 베이스캠프를 차렸다. 만반의 준비 끝에 김 선장은 출항했다.

    “서쪽에서 동쪽으로 태평양과 남극해, 대서양과 인도양을 지나 적도를 두 번 통과해 지구 한 바퀴를 돌아와야 했어요. 지난해 11월 27일 첫 적도를 지날 때는 벅찬 감동이 밀려왔어요. 첫 산을 넘은 기념으로 처음 맥주 한 모금을 마시며 자축했습니다. 이후 남위로 계속 내려가면서는 긴장의 끈을 놓을 수가 없었어요. 남위 40도선 이하는 파도가 높고 바람도 거센데, 초강풍에서 약풍으로 떨어지는 일이 부지기수였죠. 바람을 예측할 수 없다 보니 자칫하면 생명을 잃을 수도 있겠다는 불안감이 밀려왔어요.”

    ‘누군가의 꿈’이란 말, 항해 원동력

    가장 큰 관문은 ‘바다의 에베레스트’라 부르는 칠레 최남단의 혼 곶(Cape Horn)이었다. 6~7m 높이의 파도 때문에 많은 요트가 전복돼 ‘요트의 무덤’이라고도 부르는 곳이다. 김 선장은 “갑판 아래서 잠을 자는데 몸이 거의 직각으로 서기에 잠에서 깼다. 천장 환기구로 바닷물이 들어오고, 요트는 53노트(약 98km/h)로 달려 나갔다. 바람 소리가 제트엔진 소리처럼 공포스럽게 느껴졌다”고 당시 상황을 설명했다. 얼마쯤 지나자 혼 곶을 통과했고 요트 아래 3.2t짜리 밸러스트(배의 평형을 맞추는 추)가 곧바로 평형을 맞춰 정상적으로 항해를 이어갔다.

    긴 항해 동안 김 선장은 숱한 어려움을 넘겼다. 심적으로 가장 어려웠을 때는 언제였을까. 그는 “요트 핸들을 자동으로 잡아주는 자동항법장치가 고장 났을 때”라고 말했다. 자동항법장치는 식사하거나 잠을 자는 동안 핸들을 잡아주기 때문에 꼭 필요한 장치. 고장이 날 경우 선장은 몇 시간이고 핸들을 잡고 있어야 한다.

    “기온이 영하인 남극해를 지날 때 밤 12시쯤 자동항법장치가 고장 났어요. 급히 내복에 방풍방수복을 껴입고 갑판으로 나가 핸들을 잡았죠. 기계는 요트 뒤쪽 창고에 들어 있었는데 수시로 파도가 덮치는 위치예요. 3시간 반 동안 궁리 끝에 바다가 잠잠해질 때쯤 황급히 창고로 내려가 접촉 불량인 곳을 고치고 바닷물을 닦아낸 뒤 올라왔어요. 다행히 자동항해가 시작되더라고요. 춥고 어두운 상황에서 불안감이 극에 달해 정말 아찔했어요.”

    반면 어디에서도 볼 수 없는 장관을 경험하는 축복도 있었다. 끝없이 펼쳐진 수평선 위로 매일 저녁 지는 해를 바라볼 때면 형언할 수 없는 감동이 밀려왔다. 남극해에서는 거대한 유빙을 지나칠 때 아찔하면서도 자연의 위대함을 느꼈다.

    “높이 솟은 유빙은 그 자체로 예술이죠. 그러나 수면 위 1m 정도 높이의 유빙은 레이더에 잡히지도 않고 육안으로 예측하기도 힘들어 폭탄과도 같아요. 그런 유빙들은 ‘러시안룰렛’에 비유되는데, 부딪혀서 배가 깨졌다면 저는 이 자리에 있지도 못했을 거예요.”

    출항 전 많은 이가 그의 항해를 응원했다. 한 여대생은 자신의 희망을 아라파니호에 싣고 싶다며 후원금 1만 원을 보내왔다. 김 선장은 “가장 적은 후원금이었지만 가장 가치 있게 느껴졌다”고 말했다. 또 어떤 이는 그에게 ‘지금 당신의 항해는 누군가의 꿈’이라며 응원의 말을 건넸다고. 김 선장은 “힘들 때마다 그분들의 목소리가 자꾸 떠올라 포기할 수 없었다”고 고백했다.

    “이번 항해로 인생 후반전의 문이 열린 느낌이에요. 팀을 결성해 자금이 마련되면 세계적인 대회에 출전할 계획입니다. 장기적으로는 퇴직한 분들의 요트 길 안내자가 되고 싶어요. 저는 50대부터가 진정한 청년기라고 생각해요. 특히 요트는 취미로 치부하기에는 아쉬운, 뭔가 특별한 것이 있어요. 두려움에 맞서며 항해하다 보면 인생의 진정한 의미를 찾을 수 있을 겁니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