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740

2010.06.07

北, 연어급 잠수정 이란에 수출했다

2008년 가디르급 잠수함은 북한이 제작 … 反美 국가에 수출하려고 존재 부정

  • 이정훈 동아일보 논설위원 hoon@donga.com

    입력2010-06-07 09:56: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北, 연어급 잠수정 이란에 수출했다

    1996년 9월 무장간첩 26명을 태우고 강원 강릉시 강동면 안인진리 해안으로 침투했던 북한 상어급 잠수함.

    주체를 내세우는 북한이 한국 따라 하기로 위기를 모면하려고 한다. 지난 5월 24일 국방부 장광일 정책실장이 외신기자 간담회를 열어 천안함 사건을 설명하자, 28일 북한 국방위원회 박임수 정책국장(대좌)이 평양 인민문화궁전에서 북한 국방위 역사상 최초로 내외신 기자회견을 열고 “우리에겐 연어급 잠수정, 상어급 잠수정이 없고 130t짜리 잠수정도 없다”라고 주장한 것이다.

    이러한 기자회견을 한 것 자체가 그만큼 다급했기 때문이다. 선전전의 일환인 만큼 하고 싶은 거짓말도 마음껏 쏟아냈다. ‘제3자’인 구글어스가 2006년에 찍힌 연어급 잠수정 사진을 공개했는데도 북한은 이를 부인했다. 연어급 잠수정 실체를 중심으로 북한의 잠수함정 전력을 정리해본다.

    구글어스에 찍혔는데도 오리발

    북한이 보유한 가장 큰 잠수함은 1500t인 로미오급(Romeo級)이다. 76.8m 길이의 이 잠수함은 1940년대 소련이 만든 타입-031 잠수함을 원형으로 한다. 냉전 시절 소련은 핵잠수함 건조에 전력하면서 중국 등 동맹국에 재래식 잠수함 건조기술을 제공했다. 1970년대 이 잠수함을 건조하게 된 중국은 1973~74년 북한에 4척을 수출했다. 냉전 시절 나토(NATO·북대서양조약기구)군은 타입-031을 조금씩 개량해 공산국가로 퍼져나간 이 잠수함을 ‘로미오급’이라고 통칭했다.

    1975년부터 북한은 함경남도 신포의 미양도 조선소에서 2년에 한 척꼴로 이 잠수함을 자체 건조하기 시작했다. 1985년 2월 20일 동해에서 사고로 한 척을 잃어 현재는 22척을 보유하고 있다. 러시아가 경제난을 겪은 1990년대 중반 북한은 러시아로부터 로미오급 30여 척을 포함한 40여 척의 퇴역 잠수함을 수입했는데, 이는 로미오급 등의 부속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동해에 18척, 서해에 4척 배치된 로미오급은 중어뢰 발사관을 8개 갖고 있다.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후 소련은 독일에서 가져온 U보트 기술을 토대로 배수 톤수 1600t에 길이 75.8m, 중어뢰 발사관 6개를 가진 타입-613 잠수함을 만들었다. 이 잠수함 역시 조금씩 개량해 공산국가들에 퍼져나갔는데 나토군은 이를 ‘위스키급(Whiskey級)’이라고 통칭했다. 북한은 위스키급을 4척 도입했으나 지금은 오래돼, 서해에 배치해놓고 훈련용으로만 이따금 사용한다.

    북한이 가장 활발히 사용하는 것은 1991년부터 건조하기 시작한 370t급(상어급) 잠수정이다. 이 잠수정은 1996년 9월 25일 강릉시 안인진리 해안에 좌초함으로써 실체가 완전 공개됐다. 상어급은 한미연합사에서 붙인 별명인데, 북한은 상어급 잠수정을 26척 정도 보유하고 작전에 따라 적절히 동서해에 배치해놓고 있다. 상어급 잠수정에는 4개의 중어뢰 발사관이 있다. 그러나 강릉으로 침투한 상어급은 공작원 침투가 주목적이어서 어뢰를 싣지 않았다.

    1998년 6월 22일에는 속초 앞바다에서 75t인 북한의 유고급(Yugo級) 잠수정이 그물에 걸려 역시 실체가 드러났다. 이 잠수정은 1965년 유고슬라비아에서 건조돼 공산국가로 전파된 것이라 나토군은 ‘유고급’이라는 별명을 붙였다. 크기가 너무 작아 중어뢰 발사관은 없다. 장거리 잠항도 할 수 없어 모선과 함께 다닌다. 북한은 자체 제작한 이 잠수정 2척을 1997년 베트남에 수출했다. 북한은 이 잠수정을 30여 척 보유하고 있다. 강릉 상어급 잠수정 사건 때 생포된 이광수 씨는 “북한은 로미오와 위스키급은 대형, 상어급은 중형, 유고급은 소형이라 부른다”고 증언한 바 있다.

    이란에 빌린 돈 대신 잠수정 공급

    이씨가 귀순한 뒤 북한이 만든 잠수정이 130t짜리 연어급이다. 연어급도 한미연합사가 붙인 별명으로, 북한 이름은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 북한이 이 잠수정을 보유하게 된 데는 이란과의 부채관계가 작용했다. 2007년 2월 북한과 이란의 고위관리는 3국에서 만나 북한이 이란에 지고 있는 부채 문제를 논의했다. 그해 5월 북한의 김영일 외무성 부상이 이란을 방문해 마누체르 모타키 외무장관과 같은 문제로 회담을 했고, 양측은 북한이 잠수정을 공급해 부채를 갚는 방안을 결정했다고 한다.

    이란과 아라비아 반도 사이에는 우리 서해보다 폭이 좁은 페르시아 만(걸프 만)이 있는데 이곳 바다로 전 세계에서 소비되는 원유의 30~40%가 지나간다. 미 해군 5함대가 핵을 개발하는 이란을 공격하기 위해 이 바다로 들어오려면 폭 55km, 평균 깊이 150m인 호르무즈 해협을 통과해야 한다. 이란 해군 처지에선 이 해협만 잘 막으면 미 5함대의 위협을 최소화하고, 원유 수송로를 끊어 서방세계를 압박할 수 있다. 이런 천해(淺海)에서 항공모함 등 수상함을 공격하는 데는 소형 잠수정이 절대적으로 유리하므로 이란은 북한에 제작을 의뢰한 것이다.

    北, 연어급 잠수정 이란에 수출했다

    (위)북한이 제공한 것으로 추정되는 이란 가디르급 잠수함. (아래)북한의 수출용 130t 소형 잠수정.

    이에 따라 북한은 중어뢰 발사관 2문을 갖추고, 소나 탐지를 피하도록 스텔스 도료까지 바른 130t짜리 잠수정을 개발했다. 이란은 자국민의 사기를 올리려는 목적인 듯 이 잠수정을 자체 제작한 것으로 꾸몄다. 2007년 11월 24일 이란의 하빌볼라 사이야이 장군은 자체 제작한 가디르(Ghadir)급 잠수정을 진수했다고 선언했다. 이란에서는 시아파가 주류인데 시아파는 무함마드가 이맘 알리를 후계자로 정한 12월 16일(헤지라력 기준) ‘이드 가디르’ 축제를 연다. 가디르는 이 축제에서 이름을 따온 것으로 보인다.

    2008년 11월 25일 이란 국영 영어방송인 ‘프레스TV’에서 이란 국방부가 자국 기술로 제작한 카엠 잠수정을 진수했다고 보도했다. 카엠은 가디르와 동형이기에 서방세계는 이 잠수정을 가디르급이라고 통칭한다. 연이은 잠수함 진수에 만족한 듯 나자르 이란 국방장관은 이 TV에서 “이란은 모든 종류의 전함을 자체 공급할 수 있게 됐다” “이란은 전략적인 지역인 페르시아 만과 오만해(海)의 평화와 안보를 지키는 주력군이다”라고 자랑했다.

    이란이 진수한 잠수정의 제공국이 북한이라고 판단한 것은 우리만이 아니다. 일본 ‘교토통신’도 2008년 1월, 북한은 이란이 원하는 잠수정 4척을 제작해 제공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보도했다. 이후 이란은 가디르급 잠수정을 타고 대미(對美) 항전을 다지는 병사들의 유튜브(동영상)를 만들어 돌리기도 했다. 한미연합사는 북한이 이란 수출을 계기로 건조한 연어급을 자국 해군에도 10여 척 공급해 동서해에 배치한 것으로 보고 있다.

    한국의 실수는 북한이 서해로는 잠수정을 침투시키지 않으리라는 고정관념을 갖고 경계작전을 하다 허를 찔렸다는 것이다. 북한은 천안함 침몰에 성공함으로써 이란 등 우호국에 연어급 잠수정을 더 수출할 기회를 잡았다. 그러나 한국이 북한의 소행임을 과학적으로 밝혀내면서 세계적인 압박을 받게 됐다. 경제가 어려운 북한이 이러한 압박을 피해 반미국가들에게 계속 연어급 잠수정을 수출하려면 어떻게든 연어급의 존재를 부정해야 한다. 이런 사정을 이해하면 북한 국방위가 코미디 같은 기자회견을 연 까닭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란과 북한은 잠수정 커넥션과 거짓말 공동체를 형성하고 있다.

    한미 연합 서해안 대잠 작전은

    “장보고, 북한 기지 앞에 매복했다 나오는 잠수함 공격”


    北, 연어급 잠수정 이란에 수출했다

    한국 해군이 보유한 1200t 장보고 잠수함.

    천안함 사건 응징을 위한 한미 연합대잠(對潛)작전이 미 해군 7함대의 항공모함 전단이 참여한 가운데 예상보다 이른 6월 상순부터 시작될 전망이다. 미국이 적극성을 보이는 이유는 미국도 잠수함 방어가 쉽지 않아 골머리를 앓기 때문이다.

    한국 해군이 보유한 1200t의 장보고 잠수함은 2004년 림팩 훈련에서 존 C. 스테니스 핵항모를 포함한 수상함, LA급 핵추진 잠수함 등 상대한 40여 척 모두에 가상 어뢰를 명중시켰다. 그러고도 자신은 한 번도 탐지되지 않는 기적을 이뤘다. 림팩 훈련에서 한국 잠수함이 선전한 것은 오래된 진실이지만 2004년 결과는 상상외였다. 그래서 생긴 별명이 ‘퍼펙트 장보고’.

    림팩 훈련을 통해 미 해군은 소형 잠수함이 해저 지형이나 와류(渦流)를 이용해 매복하면 수상함, 잠수함이 아무리 소나를 가동시켜도 탐지할 수 없음을 확인했다. 이후 이 잠수함을 찾아내는 기술과 전술 개발에 전력을 기울였다. 미국은 대지(對地) 공격 미사일을 탑재한 핵추진 잠수함만 보유하고 있다. 그런데 덩치가 크고 소리도 커 장보고 같은 소형 잠수함에 먼저 탐지돼 매복 공격을 받는다는 것을 알고 이를 피하기 위한 대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이 해법을 찾아내지 못하면 미 해군은 이란을 응징하기 위한 페르시아 만 진입작전을 할 수 없다. 반면 한국은 천안함 사건으로 서해에서 강력한 대잠작전을 해야 하는 처지가 됐다. 훈련 파트너로는 서로가 최고이기에 양국은 예상보다 빨리 서해 대잠훈련을 하게 된 것이다.

    한국은 장보고급 외에 연어급과 비슷한 돌고래 잠수정을 보유하고 있다. 이 잠수함정들이 한 편이 되고 한미연합 수상함이 또 한 편이 돼 공방(攻防)하는 훈련을 해보는 것이다. 미국의 LA급 잠수함과 우리의 장보고 돌고래가 맞붙는 잠대잠(潛對潛)전 연습, 한미 수상함과 한미 잠수함정이 한 편이 돼 소형 잠수함정을 추적하는 훈련도 해볼 수 있다.

    최고의 대잠전은 상대 잠수함 기지 앞에 매복했다가 적 잠수함이 나올 때 잠수함으로 공격하는 것이다. 해군 예비역들은 국가 지도부가 허락만 해주면 장보고급 잠수함이 서해의 비파곶, 동해의 차호 등 북한 잠수함 기지 앞으로 침투해 있다 북한 영해 밖으로 나온 북한 잠수함정을 쥐도 새도 모르게 격침할 수 있다고 자신한다. 이러한 훈련도 해볼 수 있을 것이다.

    이란 응징 문제로 고민하는 미국과 북한 응징으로 고민하는 한국의 사정이 서해 연합대잠 훈련을 낳았다. 세계 전략가들의 관심이 서해로 쏠릴 수밖에 없다. 이 훈련이 정례화되면 한중일 정상회담에서 우리의 간곡한 요청을 거부했던 중국도 매우 불편해질 것이다. 훈련 중인 잠수함은 어디든지 갈 수 있기 때문이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