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356

..

소·돼지도 상팔자로 키워라

항생제 안 쓰고 자연식 먹이 주며 자유롭게 방목… 시간·비용 더 들지만 수요 폭발

  • 송화선 기자 spring@donga.com

    입력2002-10-17 16:07: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소·돼지도 상팔자로 키워라

    자유로운 환경이 건강한 먹거리를 만든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충북 단양군에 자리잡은 자연방사 양계장 ‘풀미골’에서 닭들이 목초지를 자유롭게 뛰어다니고 있다.

    ”자유를 원하는 건 모든 동물의 본능입니다. 그걸 억지로 누르고 비인도적으로 학대하면서 기른 소의 고기가 사람 몸에 좋을 리가 있겠습니까.”

    충북 괴산군 감물면에서 소를 키우는 강영식씨(42)는 소 사육에 대한 뚜렷한 소신을 갖고 있다. 동물도 사람과 같은 생명체임을 잊지 않는 것, 소가 받은 스트레스는 결국 쇠고기를 먹는 인간에게 돌아온다고 믿는 것 등이 그것이다.

    그래서 강씨는 절대 소에게 코뚜레를 하지 않는다. 좁은 우리 안에 매어두지도, 항생제나 성장호르몬을 억지로 투여하지도 않고 하루에 몇 차례씩은 반드시 운동을 시킨다. 그 고기를 먹을 인간이 행복하려면 먼저 소가 건강하고 행복해야 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강씨의 소 키우는 방식은 철저히 자연친화적이다. 자신의 밭에서 직접 재배한 무농약 호밀과 옥수수를 먹이고, 소의 배설물을 모아 만든 퇴비로 다시 소 먹일 농작물을 키운다. 강씨는 소가 겨울에 먹을 무농약 볏짚을 만들기 위해 우렁이 농법으로 벼농사를 지을 만큼 무농약, 무항생제 사육 원칙을 충실히 지키고 있다.

    소 코뚜레 안 하고 운동도 적당히



    “일반 사육방식으로 소를 키우는 것에 비하면 3~4배 이상 품이 들죠. 신경도 많이 쓰이고요. 하지만 이렇게 키운 소가 항생제 주사를 안 맞고도 병치레 없이 건강하게 자라는 모습을 보면 내 방식에 대한 확신이 들어요. 우리 소를 먹어본 사람들은 한결같이 육질이 훨씬 담백하고 맛있다고들 합니다.”

    5년 전 소 사육을 ‘친환경적’ 방식으로 전환했을 때 그는 과연 이렇게 생산한 소를 제 값 받고 팔 수 있을까 하는 걱정이 많았다고 털어놓았다. 태어나면서부터 성장호르몬을 맞고 자란 소들과 비교하면 성장속도도 느리고 몸집도 작았던 탓이다.

    하지만 ‘인도적으로’ 길러진 고기를 찾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강씨의 사육방식은 새롭게 조명받고 있다. 항생제와 성장호르몬에 길들여져 사육되다 비인도적으로 도살당한 동물들의 스트레스가 인체에 미칠 영향에 대해 관심이 집중되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에는 덴마크가 ‘돼지의 인도적으로 죽을 권리’를 명문화하는 자율 규제를 마련, 화제가 되기도 했다. 덴마크는 영국 프랑스 등 유럽에서 확산되고 있는 ‘인도적 육식’에 대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돼지도 인도적으로 살다 죽을 권리가 있으므로 도축장에 보내지기 전에 8시간 이상 트럭으로 운반돼서는 안 된다’는 규칙을 제정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우리나라에서도 친환경적 사육, 인도적 육식이 새삼 주목받고 있다. 유기농채소를 주력상품으로 판매하던 친환경적 먹거리 매장과 인터넷 사이트들이 속속 ‘인도적 육류’와 계란, 유제품 등 동물성 제품을 전면에 내세우고 있는 것이다.

    소·돼지도 상팔자로 키워라

    건강을 위해 ‘인도적으로’ 사육된 육류를 찾는 이들이 늘고 있다.

    국내 최대의 친환경 먹거리 생활협동조합 한살림에서는 화학첨가물을 넣지 않은 햄·소시지 가공업체 두레식품이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이 회사에서 생산하는 육가공제품의 특징은 건강하고 자연스럽게 자라난 소, 돼지를 원료로 한다는 것. 1993년부터 두레식품을 운영해온 송영호 대표(58)는 재료 선정의 첫번째 기준으로 ‘성장과정에서 학대당하지 않았을 것’을 든다.

    “돼지 사육농가에서는 서로 싸우는 것을 막기 위해 돼지의 이빨이나 꼬리를 자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육질을 부드럽게 하고 냄새를 줄일 수 있다면서 어린 돼지를 거세하기도 하지요. 그러나 이런 것은 돼지에게 엄청난 스트레스가 됩니다. 그래서 이런 돼지로는 절대 햄·소시지를 만들지 않아요. 코뚜레를 한 소나 묶인 상태에서 자란 한우들도 제외합니다. 사람이 먹을 동물이라면 좋은 환경에서 자유롭게 자라야 한다는 게 우리의 첫째 원칙이지요.”

    그 다음으로 보는 건 음식. 성장촉진제나 항생제가 들어간 사료, 유전자 변형 농작물을 먹인 동물도 인체에 해를 끼칠 수 있기 때문에 가공육의 원료로 사용하지 않는다.

    송대표는 이런 절차를 거치면 햄·소시지도 유기농채소 못지않은 건강하고 친환경적인 먹거리가 될 수 있다고 자신한다.

    ㈜풀무원의 자회사로 최근 유기농산물 분야에서 큰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내추럴홀푸드의 주력상품도 동물성 제품인 ‘자연방사 유정란’. 소백산 자락에 둘러싸인 충북 단양의 6000여평 농장에서 건강한 닭들이 자유롭게 뛰놀며 낳은 달걀이라는 컨셉을 내세운 이 유정란은 일반 달걀의 2배가 넘는 가격에도 불구하고 판매에 호조를 보이고 있다. 내추럴홀푸드 이미경 차장은 “유정란뿐 아니라 육류도 최신식으로 설비된 도축장에서 동물의 고통을 최대한 덜어주는 방식으로 도살했다는 점이 알려지면서 ‘인도적 육류’를 찾는 소비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며 “서울 강남과 수도권 신도시 등의 20대 후반에서 40대 초반의 고학력 주부들이 주요 구매층”이라고 밝혔다.

    소·돼지도 상팔자로 키워라

    대도시 주부들을 중심으로 친환경적 먹거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75년부터 유기농을 시작해 우리나라 유기농업의 선구자로 불리는 정농회도 ‘방목 흑돼지’로 관심을 끌고 있다. ‘방목 흑돼지’는 강원 홍천군 발교산과 대학산 자락 자연농장에서 들쥐, 개구리, 더덕, 산수유 등 자연의 음식을 섭취하며 자란 것으로, 일반 돼지보다 영양학적으로 우수하다는 게 정농회측의 주장이다.

    이러한 현상에 대해 인천에 사는 한경희씨(주부)는 “친환경적이라고 소개되는 육류나 계란 등이 다소 비싸긴 하지만 지저분한 환경에서 자라다가 도살됐을 것이 뻔한 일반 육류보다는 믿음이 가 자주 사는 편”이라며 “채소나 과일을 살 때 유기농산물을 사듯이 육류도 좋은 것으로 골라 먹는 것이 요즘 추세”라고 밝혔다.

    문제는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친환경적’ 육류들이 ‘친환경적’이기는 해도 ‘유기 축산’을 규정하는 국제기준에는 미달된다는 점. 환경농업 연구단체 흙살림의 최용규 박사는 “유기 축산으로 국제인증을 받으려면 최소한 3년 이상 무농약 상태인 넓은 초지와 유기농업을 통해 생산한 건강한 사료가 필요하다”며 “국토가 좁고 90% 이상 수입사료에 의존하고 있는 우리 축산 현실에서 이를 충족시키는 것은 매우 어렵기 때문에 당분간 공식적인 유기 축산은 불가능하다고 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결국 각 업체에서 내세우는 ‘친환경적’ 육류는 자체 기준에 따른 셈이다.

    이 때문에 전문가들은 우리 실정에 맞는 친환경적 육류 사육기준을 빨리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최용규 박사는 ‘친환경적 육류’의 최소 조건으로 무농약 사료를 사용하고 사육 과정에서 학대를 금하며 도살의 고통을 최소화하는 조치를 취할 것 등을 들었다. 최근 인기를 끌고 있는 ‘녹차 먹인 돼지’나 ‘숯 먹인 닭’, ‘클래식음악 속에서 키운 소’ 등의 육류라도 위의 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한다면 ‘비인도적 육류’로 볼 수밖에 없다는 게 최박사의 견해다.

    가축에 대한 대규모 사육이 시작된 이래로 닭이 목조차 돌릴 수 없을 만큼 비좁은 닭장과 배설물이 채 치워지지 않은 소 우리, 그 안에서 부리가 잘리고 거세된 채 앉아 있던 동물들의 모습은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여져 왔다. 그러나 이제 세상은 바뀌고 있다. 최근 일고 있는 ‘인도적 육식’에 대한 관심이 건강한 식탁을 위한 또 하나의 출발점이라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