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1116

2017.12.06

그냥 좋은 장면은 없다

‘하강’의 두 얼굴 실패의 두려움, 하지만 찰나의 짜릿함

실패의 두려움, 하지만 찰나의 짜릿함

  • 입력2017-12-05 13:57:24

  • 글자크기 설정 닫기
    사람들은 롤러코스터가
아무리 급하강해도 안전하다는 것을 알기에
기꺼이 아래 방향으로 내려가기를 선택한다. [shutterstock]

    사람들은 롤러코스터가 아무리 급하강해도 안전하다는 것을 알기에 기꺼이 아래 방향으로 내려가기를 선택한다. [shutterstock]

    같은 일을 반복하다 지친 동료가 한마디 내뱉는다.

    “시시포스가 된 것 같아.”

    그리스신화에 등장하는 시시포스는 힘든 일상에서 종종 회자될 정도로 익숙한 인물이다. 교활하고 꾀도 많은 그는 신들을 속인 죄로 똑같은 일을 끝없이 되풀이하는 형벌을 받았다. 커다란 바위를 굴려 산꼭대기까지 올려야 하는 것이다. 걸어서 올라가기도 힘든 가파른 비탈길을 바위를 굴려가며 오른다는 건 상상만 해도 끔찍하다. 한 번으로 끝난다면 그나마 다행일 텐데, 시시포스가 받은 형벌에 마지막은 없다. 겨우 정상까지 올라가면 힘이 풀려 아래로 굴러떨어지고, 바위를 앞세워 올라가면 다시 힘없이 떨어지고 마는 영원한 고난을 선물 받은 것이다. 힘겹게 다다른 정상에서 공든 탑이 한번에 무너져 내리고, 또다시 일어나 바위를 굴려 올라가는 과정을 무한 반복한다.

    제2차 세계대전 당시 홀로코스트를 경험한 정신과 의사 빅터 프랭클(빅토어 프랑클)은 그의 책 ‘죽음의 수용소에서’에서 ‘갇혀 있는 기간이 정해져 있지 않은 것이 가장 힘들었으며, 언제 끝날지 모르는 수용소 생활은 삶이 날아간 것 같은 느낌이었다’고 했다. 시시포스는 기약 없이 위와 아래 방향을 돌고 도는 수용소에 갇힌 셈이다. 올라가는 방향의 고통과 내려가는 방향의 절망을 무한 반복하는 잔인한 형벌이다. 산 정상으로 올라가야만 하는 시시포스에게 아래 방향은 실패의 두려움이다.

    우리가 롤러코스터 타는 이유

    자진해 아래 방향으로 내려가기를 선택하는 사람들도 있다. 롤러코스터는 위와 아래 방향을 오가는 긴장감을 마음껏 즐기는 놀이기구다. 롤러코스터에 탄 사람들이 레일을 오르락내리락하는 광경은 보기만 해도 아찔하다. 안전바 하나에 몸을 의지한 채 레일의 가장 높은 곳으로 천천히 올라가면 긴장감이 극에 달한다. 궤도열차는 정상에서 잠시 멈춰 서는 듯하다 무게중심이 앞으로 쏠리면서 갑자기 아래로 내려가기 시작한다. 휘몰아치는 속도에 비명이 절로 튀어나오면 궤도열차는 어느새 위를 향해 솟구친다. 그리고 이번엔 뒤집혀 내려가더니 또다시 올라가 뱅글뱅글 나선을 그리며 아래로 떨어진다. 롤러코스터가 아래로 내려가는 방법은 다이내믹 그 자체다.



    롤러코스터는 외부에서 주어지는 동력과 자연 발생하는 동력의 두 가지 힘으로 움직인다. 일단 엔진의 힘으로 궤도열차를 레일 전체에서 가장 높은 곳으로 올리지만 내려오면서부터는 꼭대기의 위치에너지가 운동에너지로 변화하며 자연적으로 움직인다. 롤러코스터에서 위 방향은 아래로 내려가는 동력이고, 아래 방향은 올라갈 힘을 얻는 동력이다. 아래 방향은 실패가 아닌 또 다른 성취인 것이다.

    사람들은 떨어져도 안전하다는 것을 알기 때문에 기꺼이 아래 방향으로 내려가기를 선택한다. 궤도열차 밖에서 레일의 전체 모양을 봤고, 어디서 시작하며 어디서 끝나는지 알고 있기에 실패의 두려움은 지금 이 순간을 짜릿함으로 변화시킨다.


    낙엽 표현한 가을 달력

    전동공구 회사 스틸(STIHL)이 제작한 가을 달력. 떨어지는 낙엽을 묘사했다. [STIHL 홈페이지]

    전동공구 회사 스틸(STIHL)이 제작한 가을 달력. 떨어지는 낙엽을 묘사했다. [STIHL 홈페이지]

    아래 방향에서 경험하는 즐거움을 의외의 곳에서 찾은 경우도 있다. 전동공구를 만드는 회사 스틸(STIHL)은 떨어지는 방향을 이용해 재미있는 달력을 만들었다. 고객 선물용으로 제작한 것으로, 나뭇잎의 마지막 장면을 포착한 조금 색다른 달력이다. 9월 말부터 12월까지 가을 전용 달력이라는 점 외에 매일 한 장씩 뜯기는 달력 상단에 스틸사의 기술을 숨겨놓은 점도 특별하다. 일정 시간 기계가 자동으로 움직이도록 장치해 하루가 끝날 때 달력 한 장이 저절로 떨어지는 것이다. 게다가 낙엽 그래픽으로 전면을 채워 날마다 낙엽이 하나씩 떨어지는 것 같은 느낌이 들게 했다. 이는 전동공구의 기계적 특성에 계절 감성을 더해 스틸사의 기술력을 차별화하는 효과를 가져왔다. 매일 자동으로 떨어지는 낙엽 달력 덕에 흘러가는 시간이 오히려 즐겁다. 아래를 향하는 재미에 달력 보는 맛도 살아난다.

    봄이 가면 여름이 오고, 뒤이어 가을과 겨울이 오며, 다시 봄으로 돌아간다. 사계절을 모두 경험해봤기에 누구나 안다. 11월 중순을 지나가며 붉게 물든 나뭇잎이 떨어진다. 나뭇잎은 다음 해 봄 연둣빛으로 솟아난다는 것을 아는지 롤러코스터를 탄 듯 뱅글뱅글 춤추며 내려간다. 


         고은 시인의 유명한 시가 떠오른다. 

         ‘내려갈 때 보았네/ 올라갈 때 보지 못한/ 그 꽃’



    매일 반복되는 하루의 마지막, 다시 시작할 내일을 위해 이부자리에 몸을 누이며 ‘아래 방향’이 지닌 즐거움에 빠져본다. 



    댓글 0
    닫기